"공보의 배치 안 된 보건지소 40.1%"

보건사회연구원, 60개 인구감소지역 보건소장 설문…"평균 3.6명 부족"

 인구가 줄어 소멸이 우려되는 '인구감소지역' 내 보건지소 40% 상당은 의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가 배치되지 않았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19일부터 10월 11일까지 60개 인구감소지역의 보건소장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의과 공보의가 배치되지 않은 보건지소의 비율은 40.1%로 나타났다.

 한의사, 치과의사를 제외한 의과 부문 공보의만을 조사한 수치다. 보건지소는 시군구별 보건소 아래 읍·면 단위로 설치되는 지소 개념이다.

 설문 결과 보건소와 보건지소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필요한 공보의 수는 평균 12.1명인데, 현재 배치된 공보의 수는 평균 8.5명으로 3.6명이 부족했다.

 조사 대상 지역별로 공보의가 미배치된 보건지소 수의 경우 3∼4개라는 응답이 38.3%로 가장 많았고, 5개 이상도 33.3%에 달했다. 1∼2개라는 응답은 28.3%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현재 공보의가 배치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요일별 순환진료 등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 전북 남원시 내 15개 면 지역에 설치된 보건지소는 공보의 6명이 순회진료를 하며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공보의 부족 현상 등을 고려해 보건지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재구조화가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63.3%에 달했다.

 공보의 제도는 농어촌 등 보건의료 취약지 주민 등에 보건의료를 제공하고자 1978년 관련 법 제정과 함께 시행돼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2010년까지 매년 1천명 안팎에 달하던 신규 의과 공보의는 2022년 511명으로 줄었고, 보건지소에 배치된 의과 공보의도 처음 3천명 아래로 내려왔다.

 2023년에 신규 배출된 공보의는 총 1천107명(의사 449명·치과의사 251명·한의사 407명)이다.

 같은 해 말 기준으로 3천175명의 공보의 중 2천716명(85.5%)이 시·군 보건소 또는 읍·면 보건지소에 배치돼있다.

 나머지는 국공립병원, 병원선·이동진료반, 교정시설 등에서 근무 중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생활습관병은 의사가 못고친다"…40년간 감기 안걸린 국민의사
인생의 95%는 건강으로 결정된다. 권력과 명예, 부(富)는 부차적 요소다. 인간에게 생명은 제일 중요한 자산인데, 이 생명의 기간을 결정하는 것은 건강이기 때문이다. 건강을 지키는 것은 쉽지 않다. 타고난 것도 있기에 더욱 그렇다. 인터뷰이들은 소식(小食)하고, 운동하고, 술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담배를 끊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터뷰이들은 이에 대해 별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들 대부분은 흡연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이 건강 비결을 모르지는 않는다. 다만 실천을 못 하기에 문제가 생긴다. 실천력도 타고나는 측면이 강하지만, 후천적 노력으로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 생활에서의 보람도 건강에 중요하다고 인터뷰이들은 전한다 적지 않은 사람이 정년퇴직 후에 건강을 잃거나 빨리 노화된다. 이는 보람, 즉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턱대고 부지런하다고 해서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 전략적 사고를 할 줄 알아야 한다. 인터뷰이들은 대체로 이런 사고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다. 전략적 사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 적성에 맞는 일을 직업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적성에 맞지 않으면 노력도, 전략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