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도암 조기 진단 가능성 높였다…대규모 유전체 확보

연세대 의대 "전암에서 1기로 발전하는 과정 유전자 변이 규명"

 국내 연구진이 담도암 발병 과정을 알 수 있는 대규모 유전체를 확보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의대 박영년·김상우 교수 연구팀이 담도암의 전암 병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병변)으로부터 침윤성 담도암(1기 이상의 암)에 이르기까지 대규모의 유전체(생명체의 모든 유전정보)와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 변화과정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담도와 쓸개에서 발생하는 담도암은 5년 내 환자 10명 중 7명이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이지만,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발견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담도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병변으로 알려진 담도계 유두상 종양에 주목, 이 부위로부터 암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유전자 발현 이상이 암 발생에 관여함을 밝혀냈다.

 유두상 종양과 담도암으로 진단된 환자 166명의 조직을 대상으로 전암 병변 부위와 주변으로 침윤해 들어가는 암종 부위를 분리, 대규모 '전장 엑솜 염기서열분석'(인간의 전체 유전체 중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는 엑손 부위 분석)을 진행했다.

 이 중 담도계 유두상 종양이 담도암으로 발전된 41명 환자 데이터를 전체 환자군과 비교하고, 9명의 환자 종양 조직에 대해 추가로 공간전사체(전사체의 위치정보) 분석을 시행했다.

 그 결과 담도계 유두상 종양은 종양 발생 위치에 따라 변이를 일으킨 유전자가 다르다는 점을 밝혀냈다.

 또 암이 되기 전 단계에서부터 이미 주요 발암 유전자 변이가 발생하며, 세포외기질(세포 밖 물질) 변화와 성장인자 반응성 관련 유전자 발현 이상으로 인해 주변 조직을 침범하는 암으로 변화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유전자 패널 검사(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유전자 변이에 의한 질환을 진단하는 검사)를 통해 담도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영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담도암 관련 연구 중 최대 규모로, 입체적인 유전자 분석을 통해 발암 과정을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었다"며 "유전자 검사 패널 제작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 1월 18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