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흡수량 최다' 상수리나무 465그루 있어야 1명 배출량 흡수

국립공원공단, 식목일 앞두고 자생 나무 흡수량 공개

 온실가스 흡수량이 많은 상수리나무 465그루를 심어야 국민 1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립공원공단은 식목일을 앞두고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나무 중 탄소 흡수량이 많은 10종을 선정해 공개했다.

 공단은 2023년부터 식물 종별 연평균 탄소 흡수량을 조사해왔다.

 상수리나무 다음으로는 물박달나무(21.51㎏), 소나무(20.07㎏), 졸참나무(20.04㎏), 들메나무(19.01㎏) 등이 연평균 탄소 흡수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 기준 14t이다.

 이를 고려하면 1명이 1년간 내뱉은 온실가스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상수리나무 465그루가 필요하다.

수목 탄소 흡수량 조사 모습. [국립공원공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척수손상 장애인 앉은키 8~9㎝ 작아…"휠체어 등 제품 설계 배려 필요"
척추 손상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앉은키가 비장애인보다 8∼9㎝가량 작고, 상체 둘레는 더 크지만 하체 둘레는 더 작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데이터를 장애인을 위한 제품, 공간, 서비스 설계에 활용하고 각종 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지난 17일 서울 광진구 장애인복지관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표원은 지난해 국내의 만 20∼60세 이상 성인 가운데 휠체어를 사용하는 척수 손상 장애인 338명(남자 246명·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인체치수를 조사했다. 29개 항목에 대한 직접측정과 45개 문항에 대한 심층 설문조사를 통해 앉은키, 앉은 눈높이,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 앉은 장딴지 둘레, 몸무게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 척수 손상 장애인의 앉은키는 남성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8.4㎝, 여성의 경우 9.4㎝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앉은 눈높이도 남성과 여성이 각각 7.4㎝, 9.2㎝씩 낮았다. 상체 둘레 항목인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는 남녀가 비장애인보다 각각 10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