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면역요법 임상 1상서 췌장암·결장암 생존 연장 효과"

美 연구팀 "변이유전자 표적 암 백신, 면역반응 활성화…암 재발 억제"

 췌장암·결장암 성장에 핵심 역할을 하는 변이 유전자(mKRAS)를 표적으로 한 암 백신(면역요법)이 표준 치료를 마친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뚜렷한 생존 연장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제브 웨인버그 교수팀은 13일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서 mKRAS 펩티드 항원으로 만든 림프절 표적 암 백신(ELI-002 2P)이 췌장암·결장암 환자 25명에 대한 임상 1상에서 강한 T 세포 반응 유도와 암 재발 없는 생존기간 연장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mKRAS 특이 펩티드 항원이 사용된 이 ELI-002 2P 백신은 개인 맞춤형이 아니고 대량 제조돼 즉시 사용할 수 있다며 이 결과는 이 백신이 췌장암·결장암 환자의 생존 연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췌장암·결장암 재발률은 수술이나 화학요법 후에도 몸 안에 암이 소량 남아 있는 경우 특히 높다고 알려져 있다.

 암 백신은 면역세포인 T세포를 자극, 암세포를 인식하고 죽이도록 설계된다.

 특히 세포 성장과 분열에 중요한 KRAS 유전자 돌연변이는 결장암 환자의 절반(50%)과 췌장암 환자 대부분(93%)에서 발견돼 암 백신의 좋은 표적이 될 수 있다.

 연구팀은 그러나 전통적인 백신은 변이 유전자(mKRAS)에 최적화돼 있지 않고 면역반응 중심인 림프절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mKRAS 단백질의 특정 펩티드를 합성하고, 여기에 지질 꼬리를 붙여 친수·소수성을 모두 가진 양친매성(amphiphile) 구조로 제작, 림프절로 잘 전달되는 림프절 표적 암 백신 ELI-002 2P를 만들었다.

 이어 이 백신을 표준치료를 마쳤지만 혈액에 여전히 암 잔여 징후가 있는 췌장암 환자 20명과 결장암 환자 5명에게 투여하고 19.7개월간(중앙값) 관찰하는 임상시험 1상을 진행했다.

 그 결과 참가자의 68%에서 mKRAS 종양 단백질에 대한 강한 T세포(CD4+ 및 CD8+) 반응이 유도됐고 T세포 반응이 강할수록 전체 생존기간과 암 재발 없이 생존기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을 투여한 췌장암 환자의 전체 평균 생존기간은 28.94개월, 임 재발 없는 평균 생존기간은 15.31개월로 증가했다.

 또 T세포 반응 강도가 백신 투여 전보다 9.17배 이상 증가한 그룹과 그 이하로 증가한 그룹을 비교한 결과 T세포 반응 강도가 강한 경우 전체 생존기간과 암 재발 없는 생존기간이 연구 기간 안에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을 만큼 길어졌다.

 반면 T세포 반응 강도가 9.17배 이하로 증가한 그룹은 전체 생존기간과 암 재발 없는 생존기간 중앙값이 각각 15.98개월과 3.02개월로 훨씬 짧았다.

 이는 백신 투여 후 T세포 반응 강도가 9.17배 증가할 경우 암 재발 위험은 88%, 사망 위험은 77%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ELI-002 2P 백신 투여 후 mKRAS 단백질에 대한 T세포 반응뿐 아니라원래 목표로 하지 않았던 다른 암 표적에까지 면역반응이 확장되는 면역확산이 관찰됐다며 이는 이 백신이 환자의 다른 종양에 대한 T세포 반응을 유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웨인버그 교수는 "이 결과는 림프절 표적 암 백신이 체내 면역세포가 췌장암과 결장암을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공격하도록 훈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이 백신에 대한 임상 2상 무작위 시험을 추가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Medicine, Zev Wainberg et al., 'Lymph node-targeted, mKRAS-specific amphiphile vaccine in pancreatic and colorectal cancer: phase 1 AMPLIFY-201 trial final result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1-025-03876-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