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불면증, 치매·경도인지장애 위험 40% 높인다"

美 연구팀 "뇌 노화 3.5년 앞당기는 효과…뇌건강에 수면 관리 중요"

 만성 불면증이 있으면 뇌 노화가 가속화되고, 치매나 경도인지장애(MCI)에 걸릴 위험이 불면증이 없는 사람보다 40%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네소타주 메이오 클리닉 디에고 Z. 카르발류 교수팀은 12일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서 노인 2천750명을 대상으로 수면과 치매·경도인지장애 관계를 5년 이상 추적 관찰해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카르발류 박사는 "만성 불면증 환자의 뇌에 변화가 나타나고 사고력이 더 빠르게 저하되는 현상을 확인했다"며 "불면증은 다음날 기분이나 피로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장기적으로 뇌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건강한 노인 2천750명(평균 연령 70.3세)을 평균 5.6년간 추적 관찰했다. 이 중 16%가 만성 불면증을 겪고 있었다. 만성 불면증은 일주일에 3일 이상 수면에 어려움이 있고 이런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다.

 참가자들은 매년 인지 검사와 기억력 검사를 받았다. 일부는 뇌 MRI·PET 검사를 통해 뇌 손상 흔적과 알츠하이머병 관련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s) 축적 여부를 확인했다.

 연구 기간에 경도인지장애나 치매로 발전한 비율은 만성 불면증 그룹이 14%로 불면증이 없는 그룹(10%)보다 높았다.

 나이, 고혈압, 수면제 복용, 수면무호흡증 같은 변수를 보정한 뒤에도 불면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경도인지장애나 치매가 생길 확률이 40% 더 높았고, 사고력 관련 검사 점수도 더 빠르게 떨어졌다.

 또 과거 2주간 평소보다 잠을 덜 잔 그룹과 더 잔 그룹을 비교한 결과 수면이 감소한 그룹은 인지 검사 점수가 수면 증가 그룹보다 낮았고, 나이가 4살 더 많은 것과 같은 수준이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유전적 위험 요인인 'APOE ε4'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은 뇌 백질 손상 징후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더 많았고, 기억력과 사고력 저하 속도도 훨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불면증은 뇌가 평균 3.5년 더 빨리 늙는 것과 같은 노화 가속화를 일으켰다며 이는 불면증이 직접적으로 뇌 노화를 '유발한다'는 인과관계를 입증하지는 않지만 그 연관성은 명확히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카르발류 교수는 "사고력 저하가 더 빠르고, 뇌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볼 때 만성 불면증은 미래의 인지 저하에 대한 조기 경고 신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불면증은 아밀로이드 축적뿐 아니라 뇌혈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만성 불면증 치료는 수면 질 향상뿐 아니라 나이가 들면서 뇌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출처 : Neurology, Diego Z. Carvalho et al., 'Associations of Chronic Insomnia, Longitudinal Cognitive Outcomes, Amyloid-PET, and White Matter Changes in Cognitively Normal Older Adults', https://www.neurology.org/doi/10.1212/WNL.000000000021415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 등 검체검사 보상체계 개편…"공정성·투명성 제고"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혈액·소변검사 등과 관련해 검사기관 간의 과도한 할인 경쟁 등 부작용을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위·수탁 보상체계 개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9일 관련 의학회, 의료계 단체 등과 함께 검체검사수탁인증관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및 질 관리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복지부는 "검체검사 위·수탁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질 관리 강화 및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해 보상체계의 근본적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검사료 분리지급과 위탁검사관리료 폐지 방안 등을 보고했다. 검체검사는 질환 진단 등을 위해 혈액, 소변, 조직 등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를 분석하는 것으로, 동네의원 등은 검체를 채취해 외부 검사기관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복지부 고시인 '검체검사 위탁에 관한 기준'에 따라 위탁한 병의원엔 위탁검사관리료가, 수탁한 검사기관엔 검사료가 건강보험에서 지급되는 게 원칙인데, 현재는 관행적으로 위탁기관이 일괄 지급받은 후 검사기관에 정산해주고 있다. 그러다 보니 검사기관이 병의원과 계약하려고 과도한 할인 경쟁을 벌이고 불공정 계약이 이뤄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검사 질 저하 우려로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