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국적 아동 영유아 검진 수검률 40% 불과…한국도 60%에 그쳐

출생통보제 대상에 외국인 포함안돼…'유령 아동'은 추적·안내도 불가

 외국 국적 아동 중 영유아 국가 건강검진을 받는 비율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우리나라 국적 아동의 수검률도 60%가량에 그쳐, 보편적 영유아 검진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명옥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최근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국가 영유아 검진 대상에 해당하는 생후 외국 국적 아동은 총 3만9천520명이었다.

 대상자를 단일 국적별(상위 14개국만 표시, 나머지는 기타)로 보면 중국 국적의 영유아가 1만5천16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우즈베키스탄이 5천377명, 베트남이 3천87명이었다.

 국가별 아동의 수검률 역시 중국이 59.0%로 가장 높았지만, 다음 순위는 일본(37.3%)과 몽골(37.0%)이었다.

 우즈베키스탄은 27.0%, 베트남은 29.1%에 그쳤다.

 국적별 집계가 된 상위 14개국 중 수검률이 가장 낮은 곳은 태국으로 23.9%였다.

외국국적 아동 영유아 검진 수검률 40% 불과…한국도 60%에 그쳐 - 2

 우리나라 영유아 중에서도 검진을 받는 아동은 전체의 3분의 2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기준 한국 국적 영유아 건강검진 대상자는 180만1천739명이었지만 수검자는 109만1천979명, 수검률은 60.6%에 불과했다.

 한국 국적 아동들의 수검률도 높지 않은 가운데 외국 국적 아동들은 이보다도 훨씬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출생신고가 누락된 채 유기·방치되는 '유령 아동'을 막기 위해 의료기관이 출생 사실을 자동으로 통보하게 하는 출생통보제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외국 국적과 무국적 아동은 출생통보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미등록으로 남아 해당 통계에도 잡히지 않고 검진 안내·추적도 불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서명옥 의원은 "생애 초기 영유아의 건강은 생명과 직결되는데도 외국 국적 아동의 절반은 검진을 받지 못하고 유령 아동은 제도 밖에 방치되고 있다"며 "정부는 외국인·미등록 아동을 포함한 보편적 영유아 검진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경쟁 격화…퍼스트무버가 승부 가른다
국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퍼스트 무버' 지위, 안정적 판매망 확보 등 차별화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바이오시밀러 최소 6개가 국내외에서 허가받거나 출시됐다. 셀트리온은 캐나다에서 골 질환 치료제 '스토보클로-오센벨트'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일본에서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를 허가받았고 유럽에서는 두드러기 치료제 '옴리클로'를, 호주에서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와 옴리클로를 출시했다. 삼천당제약도 안과 질환 치료제 '비젠프리' 바이알 및 프리필드시린지(PFS·사전 충전형 주사기) 제형에 대해 국내 허가를 받았다. 안과 질환 치료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바이알 및 PFS 제형에 대해 동유럽 8개국과 공급 계약도 맺었다. 알테오젠도 유럽에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이럭스비'를 허가받았다. 신규 진입 기업도 잇따를 예정이다. 전통 제약사로 분류되는 대웅제약[069620]은 셀트리온 출신 홍승서 박사를 영입하며 바이오시밀러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경쟁이 격화하면서 차별화 전략도 중요해졌다. 퍼스트 무버(최초 출시자) 지위 확보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