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부산 도심 한복판에서 고등학생이 응급실을 찾지 못해 구급차 안에서 1시간 만에 숨진 것과 관련해 소방노조가 미래의 소방서는 '소방응급의학센터'로 거듭나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소방노조 중 하나인 '소방을사랑하는공무원노동조합'은 24일 성명서를 내고 "이 죽음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붕괴한 대한민국 응급의료 체계가 빚어낸 '예고된 참사'임을 분명히 밝힌다"며 이렇게 말했다.
소방노조는 "병원 14곳에서 거절당하는 동안 구급대원이 느꼈을 무력감과 공포는 짐작조차 하기 어렵다"면서 "살릴 수 있는 환자가 도로 위에서 죽어가는 것을 지켜봐야 하는 고통은 오롯이 현장 대원들의 트라우마로 남고 있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를 위해 국립소방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소방응급의학센터를 운영할 전문 인력을 즉각 양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소방 노조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 필수 진료과목을 특화한 소방 전문 인력을 양성해 소방응급의학센터에 전담 배치해야 한다"면서 "이들은 구급 현장은 물론, 센터 내에서 즉각적인 응급 진료 및 배후 진료 연계까지 책임지는 국민 생명 전담 주치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20일 오전 6시 16분께 부산의 한 고등학교 인근에서 발작 증세를 보이며 쓰러진 채 발견된 고등학교 3학년 A군이 병원을 찾지 못해 구급차 안에서 1시간 대기하다가 숨졌다.
출동한 구급대원은 학생의 증세를 고려해 신경과가 있는 부산·경남 병원 14곳에 연락했지만, 이송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응급실 뺑뺑이' 논란이 일었다.
하지만 심정지 이후 이송된 병원에서 A군이 외상을 입은 사실이 확인되면서 의료계에서는 구급대원의 부실 대처를 원인으로 지적하며 책임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앞서 의사단체로 구성된 바른의료연구소는 의견문을 내고 "구급 대원의 판단 오류로 소아신경과 진료를 할 수 있는 병원을 수배하다가 이송이 늦어진 안타까운 사고"라면서 "실체 중심에는 소방 구급 시스템의 무능이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