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추천
4738 하늘이 파란 이유는? 구름이 없으니까 QzyXxTi 이성도 2021/03/22 9 0
4737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제비는? 수제비 Iek8kng 이성도 2021/03/22 23 0
4736 노선버스란 무엇인가? 노총각.노처여가 맞선보러 갈 때 타고 간 버스 AhOvn0H 이성도 2021/03/22 10 0
4735 콧구멍은 왜 두 개일까? 콧구멍 파다가 숨막혀 죽지 말라고 ttvhw65 이성도 2021/03/22 25 0
4734 헌병이 제일 무서워하는 사람은? 고물장수 ZoQwX8R 이성도 2021/03/22 10 0
4733 뒤에서 부르면 돌아보는 이유는? 뒤통수에는 눈이 없으니까 eq3gFNU 이성도 2021/03/22 15 0
4732 학교와 핵교의 차이점은? 학교는 다니는 곳이고. 핵교는 댕기는 곳 eZFzGC3 이성도 2021/03/22 15 0
4731 세상에서 제일 더럽고 추잡스럽기 짝이 없는 개는? 꼴불견 PUHLhay 이성도 2021/03/22 36 0
4730 소금을 죽이면? 죽염 TBJtYp5 이성도 2021/03/22 11 0
4729 누구나 즐겁게 웃으며 읽는 글은? 싱글벙글 65aoDI1 이성도 2021/03/22 9 0
4728 눈이 녹으면 ?뭐가 될까? 눈물 FCYLRwe 이성도 2021/03/22 21 0
4727 새신랑과 안경 낀 사람과의 공통점은? 벗으면 더듬는다 BMCBnUC 이성도 2021/03/22 13 0
4726 못사는 사람들이 하는 직업은? 목수 zSjYeki 이성도 2021/03/22 15 0
4725 천당과 지옥을 가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죽은 사람-다시 부활한 사람 4NNKwXB 이성도 2021/03/22 40 0
4724 낭떠러지 나무에 매달려 있는 사람이 싸는 똥은? 떨어질똥 말똥.죽을똥.쌀똥 GvRoShl 이성도 2021/03/22 13 0
4723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성경권은? 아가서 tRrx0bo 이성도 2021/03/22 18 0
4722 라면은 라면인데 달콤한 라면은? 그대와 함께라면 4NLV7vR 이성도 2021/03/22 16 0
4721 청소하는 여자를 세 자로 줄이면 ? 청소년 VAWhWFC 이성도 2021/03/22 9 0
4720 여자가 지켜야 할 도리는? 아랫도리 5ZHhuDz 이성도 2021/03/22 10 0
4719 탤런트 최지우가 기르는 개 이름은? 지우개 nrd0L6b 이성도 2021/03/22 21 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제약산업이 국가 성장동력"…제39회 약의 날 기념식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안전한 약, 건강한 국민, 함께하는 내일'을 주제로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제39회 약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기념식에는 정부, 국회, 산업계, 학계 등 약업 분야 종사자 약 300명이 참석해 의약품의 공공재적 가치를 인식하고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하겠다는 사회적 책무를 다짐했다. 국내 제약산업의 수출 기반 확장과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격려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윤석근 일성아이에스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동탑산업훈장, 의약품 유통 질서 및 의약품 안정공급에 기여한 서영호 동부산약품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산업포장이 수여되는 등 의약품 안전과 제약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에게 총 43점의 훈·포장과 표창이 수여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사전 부대행사로 의약품 안전 사용 포스터·카툰 공모전 시상식과 의약품 부작용을 주제로 한 세미나 등이 개최됐다. 약 바르게 알기 교육 등을 주제로 총 8개 기관이 전시 부스도 운영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서면 축사에서 "이제는 진정한 글로벌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뛰어난 연구 인력, 세계적 수준의 제조 기반 등 전 세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공기 흡입 미세플라스틱, 대장 이동 변비 유발 가능성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 흡입이 변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산대학교는 바이오소재과학과 BK21사업팀의 황대연 교수 연구팀이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윤우빈 박사, 인제대학교 장미란 교수와 공동연구로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의 흡입이 성인의 변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흔히 일회용 컵, 포장재 등에 사용되는 폴리스틸렌 재질의 미세플라스틱을 공기 중에 분사해 실험동물에 흡입시킨 후 폐 조직에 침투된 미세플라스틱이 혈액을 통해 대장으로 이동해 만성변비 질환을 유도함을 규명했다. 대장으로 이동한 미세플라스틱은 배변의 지연, 장운동의 억제, 대장 체액운반시스템 이상, 장신경계 기능 저하 등 변비 질환의 주요증상을 유발했고, 대장 조직의 심각한 구조변화를 유도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을 직접 꼬리정맥으로 투여한 마우스에서 동일하게 관찰해 실험결과를 증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혈액을 통해 운반된 미세플라스틱이 이차적으로 이동하는 소화기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변비 질환의 새로운 원인으로서 미세플라스틱의 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했다. 부산대 황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