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19일 조간)

▲ 경향신문 = 론스타와 13년 소송 한국 정부가 이겼다

▲ 국민일보 = 정부, 론스타에 완승… 4000억원 안 줘도 된다

▲ 서울신문 = 4000억→0원… 정부, 론스타에 완승

▲ 세계일보 = 4000억대 론스타 소송, 정부가 이겼다

▲ 아시아투데이 = "UAE AI허브 도약, 韓 핵심역할 할 것"

▲ 일간투데이 = 바라카 성공 넘어 미래로… 한-UAE '첨단동맹' 선언

▲ 조선일보 = "폐공장, 고철값도 못 건져 철거 못해"

▲ 중앙일보 = 한·UAE '30조원 스타게이트' 추진

▲ 한겨레 = 정부, 론스타에 승소…4천억 배상책임 없다

▲ 한국일보 = 론스타訴 13년 만의 승리, 4000억 안 준다

▲ 글로벌이코노믹 = 환율·금리·물가… '3高 악몽' 재현 조짐

▲ 대한경제 = PF 자기자본 20% 시장 판이 바뀐다

▲ 디지털타임스 = "AI시대 폭증하는 디지털리스크… ESG로 돌파해야"

▲ 매일경제 = '2040년 脫석탄' 밀어붙이는 정부

▲ 브릿지경제 = AI 전환 급한 제조기업, '3無'에 발목 잡혔다

▲ 서울경제 = 韓, UAE와 350억弗 '경제동맹'

▲ 아시아타임즈 = 韓-UAE 정상 '첨단기술·방산 협력' 확대

▲ 아주경제 = 액상담배 규제법, 국회서 막혔다

▲ 에너지경제 = 해외 투자 폭증에 '환율 균형점' 높아졌다

▲ 이데일리 = 금융사 ATM 11만대 늑장행정에 위법될판

▲ 이투데이 = 삼성, 다시 뛴다… 반도체 '새 핵심가치' 천명

▲ 전자신문 = 삼성, 1c D램 키운다…내년 월 20만장 확보

▲ 파이낸셜뉴스 = 국고채 순발행 130조… 회사채 시장 '냉각'

▲ 한국경제 = 엔비디아 경계령 … '에브리싱 랠리' 멈췄다

▲ 전국매일신문 = "UAE와 100년 동행 구축… SMR·제3국 원전 진출 공조"

▲ 경기신문 = 의왕 현안 산더미… 추동력 확보할 리더는?

▲ 경기일보 =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 유턴 늘린다

▲ 경인일보 = "학원 보내려면" 힘든 와중에도 아이들 걱정뿐

▲ 기호일보 = 인천시 택시 총량제 '공회전' 10년간 감차 실적 고작 60대

▲ 신아일보 = 北, 팩트시트 반발… "핵 도미노 초래"

▲ 인천일보 = 수도권매립지 반입량 감소, 운영 장기화 '부메랑' 우려

▲ 일간경기 = 인천시 '제2 경제도시' 굳히기 돌입

▲ 중부일보 = 경기도 트램 '만년 공회전'

▲ 현대일보 = 인천시 '제물포 르네상스' 본격화

▲ 강원도민일보 = 조합장 잇단 비위…농협 결국 칼 빼들었다

▲ 강원일보 = '축구장 700개' 면적 무·배추 무르고 썩어

▲ 경남도민신문 = '거제 기업혁신파크' 미래도시 추진 공식화

▲ 경남도민일보 = 비자 완화로 외국인 노동력 늘었지만 노동환경 퇴보

▲ 경남매일 = 거제시, 미래·관광 혁신도시로 도약한다

▲ 경남신문 = 농협중앙회 "사고 농축협 무관용 처벌하겠다"

▲ 경남일보 = 거제 기업혁신파크 "함께 성공 합시다"

▲ 경북매일 = 일제강점기 포항 인공동굴 '다크투어리즘 관광지' 만든다

▲ 경북신문 = "신라금관 6점 경주로"… 청년단체부터 시민운동 확산

▲ 경북일보 = 귀족 포도 '샤인머스캣'의 굴욕

▲ 경상일보 = 세계유산 품은 울산, 시민과 축하

▲ 국제신문 = 해양 공공기관 이제야 '첫발' 뗀 부산행

▲ 대경일보 = 포항 '고용위기 선제대응' 지정… 지역 경제 숨통 트나

▲ 대구신문 = 韓-UAE, 원전·AI·우주 등 '전방위 동맹'

▲ 대구일보 = "AI 커닝 막아라" 지역대 부정행위 방지책 강화

▲ 매일신문 = 鄭대표 대구 첫 방문 'TK 숙원 사업' 지원사격 나설까

▲ 부산일보 = 신공항 적기 개항 사실상 물거품, 들끓는 부울경

▲ 영남일보 = "영덕~삼척고속道 조기 착수 문경~안동 철도노선 신설을"

▲ 울산매일 = '세계유산 반구천의 암각화' 인증서 울산, 글로벌 문화유산도시로 우뚝

▲ 울산신문 = 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인증서 울산 왔다

▲ 울산제일일보 = 울산, 세계유산 품은 문화도시로

▲ 광남일보 = 생활인구 월 1000만명 시대 연다…지방소멸 위기 대응

▲ 광주매일신문 = 인공태양 연구시설 전남 유치 '운명의 일주일'

▲ 광주일보 = 광주 골목형 상점가 정책 '골목 경제' 살리기엔 역부족

▲ 남도일보 = 의예과, 전남대 278점·조선대 276점 지원 가능

▲ 전남매일 = "월 1000만 활력 도시"…전남도, 생활인구 프로젝트 시동

▲ 전라일보 = '1300조 투자 러시' 전략적 접근 절실

▲ 전북도민일보 = 5극3특 '성장 엔진' 달군다

▲ 전북일보 = 신고 불편 명분 119 전화 고성·윽박 군기잡기 '눈살'

▲ 금강일보 = 대전 시민 미래 열 핵심열쇠 '지방분권 실현'

▲ 대전일보 = 정기 국회 막바지… 지역 현안 관련 법안 줄줄이 표류

▲ 동양일보 = 유사 행사 즐비·프로그램 비슷… "단체장 치적·선심성 축제 그만"

▲ 중도일보 = 세계 4번째 '에어버스 테크허브' 대전에 들어선다

▲ 중부매일 = 체육회장 출연금은 대폭 삭감

▲ 충남일보 = 세계 최대 방산·항공기업, 대전에 핵심 연구공간 만든다

▲ 충북일보 = 청주공항 민간활주로 청신호

▲ 충청도민일보 = 에어버스 대전에 둥지, 과학도시 위상 입증

▲ 충청매일 = 독감 대유행에 '백신 품귀'…시민들 발동동

▲ 충청신문 = 대전 '국방·우주 반도체' 생태계 중심축 된다

▲ 충청일보 = 충북 혈액 수급난 '비상'

▲ 충청타임즈 = 희망퇴직 한파…'커지는' 고용 불안

▲ 삼다일보 = "제주 에너지 전환, 지속가능 성장 직결"

▲ 제민일보 = 비양심 상품외감귤 가격 호조세 찬물

▲ 제주매일 = '2035 탄소중립' 비전 불구 도교육청 예산은 매해 감소

▲ 제주일보 = 규제 때문에 활용도 너무 낮다

▲ 한라일보 = "더 버틸수 없다" … 건설업체 '비명'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제약산업이 국가 성장동력"…제39회 약의 날 기념식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안전한 약, 건강한 국민, 함께하는 내일'을 주제로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제39회 약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기념식에는 정부, 국회, 산업계, 학계 등 약업 분야 종사자 약 300명이 참석해 의약품의 공공재적 가치를 인식하고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하겠다는 사회적 책무를 다짐했다. 국내 제약산업의 수출 기반 확장과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격려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윤석근 일성아이에스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동탑산업훈장, 의약품 유통 질서 및 의약품 안정공급에 기여한 서영호 동부산약품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산업포장이 수여되는 등 의약품 안전과 제약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에게 총 43점의 훈·포장과 표창이 수여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사전 부대행사로 의약품 안전 사용 포스터·카툰 공모전 시상식과 의약품 부작용을 주제로 한 세미나 등이 개최됐다. 약 바르게 알기 교육 등을 주제로 총 8개 기관이 전시 부스도 운영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서면 축사에서 "이제는 진정한 글로벌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뛰어난 연구 인력, 세계적 수준의 제조 기반 등 전 세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공기 흡입 미세플라스틱, 대장 이동 변비 유발 가능성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 흡입이 변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산대학교는 바이오소재과학과 BK21사업팀의 황대연 교수 연구팀이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윤우빈 박사, 인제대학교 장미란 교수와 공동연구로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의 흡입이 성인의 변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흔히 일회용 컵, 포장재 등에 사용되는 폴리스틸렌 재질의 미세플라스틱을 공기 중에 분사해 실험동물에 흡입시킨 후 폐 조직에 침투된 미세플라스틱이 혈액을 통해 대장으로 이동해 만성변비 질환을 유도함을 규명했다. 대장으로 이동한 미세플라스틱은 배변의 지연, 장운동의 억제, 대장 체액운반시스템 이상, 장신경계 기능 저하 등 변비 질환의 주요증상을 유발했고, 대장 조직의 심각한 구조변화를 유도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을 직접 꼬리정맥으로 투여한 마우스에서 동일하게 관찰해 실험결과를 증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혈액을 통해 운반된 미세플라스틱이 이차적으로 이동하는 소화기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변비 질환의 새로운 원인으로서 미세플라스틱의 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했다. 부산대 황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