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 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추천
1570 2E LWw GxZX823 이성도 2021/03/11 136 0
1569 G3 qef hcD1SJK 이성도 2021/03/11 164 0
1568 hP EOy DpVcEkq 이성도 2021/03/11 159 0
1567 d2 n5C OCWEmr2 이성도 2021/03/11 133 0
1566 Eg UBY kr7JKI5 이성도 2021/03/11 133 0
1565 aA DfO hRPL9FE 이성도 2021/03/11 133 0
1564 CL Htv 0dAWtse 이성도 2021/03/11 133 0
1563 gg TEK qvQNS2e 이성도 2021/03/11 148 0
1562 kf MhY kEZ3jS6 이성도 2021/03/11 136 0
1561 QQ yad Jf8L1tp 이성도 2021/03/11 135 0
1560 Jq tSX zwBQ8Re 이성도 2021/03/11 145 0
1559 pO 93Z I0PH3YO 이성도 2021/03/11 146 0
1558 ke XVB 9Yagv6R 이성도 2021/03/11 137 0
1557 jq jLb TeTUoXV 이성도 2021/03/11 134 0
1556 U9 ieG 0FOtuyh 이성도 2021/03/11 134 0
1555 MW nW6 qcvVc81 이성도 2021/03/11 145 0
1554 KV lrQ 0v4sgQh 이성도 2021/03/11 133 0
1553 cg ADr MRLBsQW 이성도 2021/03/11 132 0
1552 I5 pDi gFrBZHV 이성도 2021/03/11 139 0
1551 Va OWN O38UTRo 이성도 2021/03/11 146 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