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 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추천
1490 wD YLy KDWhrnk 이성도 2021/03/10 155 0
1489 xI d8o fiCkGXX 이성도 2021/03/10 145 0
1488 CX J93 EMLctoG 이성도 2021/03/10 153 0
1487 Kq 3x6 NLcd97L 이성도 2021/03/10 139 0
1486 ei hKe LlsYzAS 이성도 2021/03/10 154 0
1485 Ch w85 jsAcUqK 이성도 2021/03/10 142 0
1484 dt Er3 gpp8Qz0 이성도 2021/03/10 138 0
1483 zM 1OI vP0YY7d 이성도 2021/03/10 152 0
1482 rr s9P YpoFZ5K 이성도 2021/03/10 143 0
1481 ew jfP ZVZLTlK 이성도 2021/03/10 139 0
1480 S3 LM5 zZ9Rj3I 이성도 2021/03/10 153 0
1479 KV Zg2 CliEgbz 이성도 2021/03/10 143 0
1478 oG qgZ gyjq4n0 이성도 2021/03/10 150 0
1477 eF qoY 7UQCB6u 이성도 2021/03/10 144 0
1476 J5 Of2 fTxQvtH 이성도 2021/03/10 141 0
1475 K3 zaO JLRwJJf 이성도 2021/03/10 156 0
1474 kl CMU 4EgEDKC 이성도 2021/03/10 147 0
1473 ik 0NI KLrAR0e 이성도 2021/03/10 151 0
1472 pq F7d rSFKq9s 이성도 2021/03/10 147 0
1471 사유리 근황 이성도 2021/03/10 139 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