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과 새끼손가락 통증, 척골충돌증후군

가만히 앉아있거나, 누워있을 때도 쉬지 않고 움직이는 신체 부위는 ‘손’일 것이다. 또한 요즘에는 장소를 가리지 않고 남녀노소 모두 한 손에 스마트폰을 쥐고 열심히 무언가를 보고, 찾고, 확인하고 있다. 손이 더 바빠진 것 같다. 그만큼 손목 관련 질환도 많아졌다.

 

손목과 엄지손가락 주변에 통증이 생기는 손목건초염, 손목이 저릿저릿한 타는 느낌이 나는 손목터널증후군, 새끼손가락 아래 부분에 통증이 나타나는 척골충돌증후군 등이 대표적인 손목 관련 질환이다. 이 중 손목건초염이나 손목터널증후군에 비해 척골충돌증후군이라는 질환 명은 생소하다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척골충돌증후군은 빨래를 짜거나 병뚜껑을 따려고 할 때, 문고리를 돌릴 때 찌릿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의자를 짚고 일어서거나 무거운 물건을 한 손으로 들 때 통증이 심해지기도 한다.

 

손목관절을 만져보면 두 개의 뼈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바로 요골과 척골이다. 척골은 새끼손가락 아래쪽에 있는 뼈이다. 요골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척골이 수근골(손목뼈)과 부딪혀 관절 내 구조물에 손상을 주고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이 척골충돌증후군이다. 심할 경우 척골과 손목뼈 사이에 있는 삼각섬유연골까지 충격을 받아 삼각섬유연골이 파열될 수도 있다. 

 

주로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을 가지고 있거나, 테니스나 골프 같은 손목에 무리가 가는 운동을 많이 하는 경우, 선천적으로 척골이 길어서 척골과 손목뼈 사이의 여유공간이 부족한 경우 척골충돌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손목부의 척골의 길이는 사람마다 다르다. 척골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사람은 같은 빈도로 손목을 사용했을 때 정상 길이를 갖고 있는 사람에 비해 척골충돌증후군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편이다. 또한 손목 관절의 퇴행성변화도 척골충돌증후군의 원인이 된다.

 

초기에는 손목 사용을 줄이고, 통증을 유발하는 자세나 동작을 삼가는 것만으로도 개선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약물치료나 깁스 및 손목 보호대 착용, 주사치료, 체외충격파 등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만으로 호전되지 않는다면 뼈의 높이를 맞추는 척골 단축술을 시행해 손목 관절 내 괴사나 파열의 진행을 막아야 한다.

 

그 동안 손목통증으로 고통스러웠다면 손목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손목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피하고, 손목을 자주 사용해야 한다면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손목 돌리기나 양팔을 앞으로 뻗어 한 손으로 손등을 눌러 90도 꺾기나 손바닥을 들어 90도 꺾기 등의 간단한 동작이라도 말이다.

윌스기념병원 박태훈 원장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수술만 답 아니다"…'추나·침'에 주목하는 메이요클리닉
허리가 아파 오래 걷지 못하고, 엉덩이와 다리로 저릿한 통증이 뻗어나간다면 '척추전방전위증'을 의심해야 한다. 척추뼈가 제자리에서 앞으로 밀려나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심한 허리 협착증을 호소하는 환자들 가운데 상당수가 이 전방전위증을 동반한다. 보통 이런 전방전위증에는 신경주사로 통증을 완화하거나, 불안정해진 척추뼈를 나사로 고정하는 척추유합술이 권유된다. 하지만 이 같은 통념에 변화를 줄 만한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국내 한방병원과 미국 메이요클리닉이 공동 진행한 대규모 임상 연구에서 추나와 침 치료를 중심으로 한 한방치료가 신경주사나 진통제 같은 양방 치료보다 허리·다리 통증 완화에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번 연구는 모커리한방병원과 미국 메이요클리닉 통증센터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국제학술지 메이요 클리닉 회보(Mayo Clinic Proceedings) 11월호에 게재됐다. 연구는 2017년 6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5년 이상 진행됐고, 준비기간을 포함하면 꼬박 10년이 걸린 대규모 프로젝트다. 연구팀은 총 115명의 척추전방전위증 환자를 대상으로 58명에게는 이완추나와 침치료, 생활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