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중앙의료원, 디지털 역량 강화 비전 선포

'CMC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비전 선포식' 개최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CMC)은 30일 서울성모병원 대강당에서 'CMC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CMC Digital Transformation) 비전선포식'을 열고, 2025년까지 산하 8개 병원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CMC는 '공동선을 실현하는 미래헬스케어 혁신의 리더'로 도약하겠다는 목표 아래 의료 빅데이터 허브 구축 등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현재 CMC는 산하 8개 병원(서울성모병원·여의도성모병원·의정부성모병원·부천성모병원·은평성모병원·인천성모병원·성빈센트병원·대전성모병원)에서 확보한 1천500만명의 의료정보 빅데이터를 갖고 있다. 이를 토대로 2018년 8월 가톨릭빅데이터통합센터를 신설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앞으로 CMC는 타 병원과 원활한 데이터 교류를 위한 공통데이터 모델을 정립해 진료 연계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음성을 인식하는 의무기록 시스템, 디지털 병리 및 청진,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데이터 기반 병원감염관리 모델 등도 개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산하 병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등을 진행해 디지털 전환을 완수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분명 처방 갈등 속에…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의약품의 '성분명 처방'을 둘러싸고 의사와 약사 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명백한 불법 대체조제가 확인됐다"며 약국 2곳을 고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자체 운영해온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들 가운데 약국 2곳에 대해 약사법 위반으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의협은 이 중 한 곳에선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조제하면서 환자와 의사에게 통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타이레놀 1일 3회 복용량을 2회로 변경해 조제하고 타이레놀 8시간 서방정을 세토펜정으로 변경조제하면서 의사·환자에게 통보하지 않았다는 게 의협 주장이다. 현행 약사법은 처방전 의약품과 성분, 함량 및 제형이 같은 다른 의약품에 대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사전 동의 하에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박명하 의협 부회장은 "불법 대체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는 보건의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기본원칙을 무시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고발은 최근 성분명 처방 허용을 두고 의사와 약사사회가 갈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