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사직으로 급감했던 '빅5' 병원 전공의가 올해 상반기 복귀자에 힘입어 지난해 말 대비 2배 이상으로 늘었다.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등은 각각의 전공의 수가 100명을 넘어섰지만, 빅5 병원의 전공의 수는 여전히 의정갈등 이전의 20% 수준에 불과하다. 2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집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이상 가나다순) 등 빅5 병원의 전공의 수는 인턴 113명, 레지던트 435명 등 548명이다. 의정갈등이 이어지던 작년 12월 말 당시 빅5 병원 전공의 수 230명(인턴 17명·레지던트 213명)과 비교해 6개월 만에 약 2.38배 규모가 됐다. 서울대병원 전공의는 작년 12월 말 67명(인턴 10명·레지던트 57명)에서 올해 6월 말 171명(32명·139명)으로 2.55배로, 세브란스병원 전공의는 46명(5명·41명)에서 123명(116명·107명)으로 2.67배로 각각 늘었다. 이 기간 삼성서울병원 전공의는 43명에서 106명으로, 서울아산병원 전공의는 35명에서 75명으로, 서울성모병원 전공의는 39명에서 73명으로 각각 늘어났다. 의정갈등 장기화 국면
서울대병원은 국내 최초로 폐 이식 로봇 수술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폐 이식 로봇 수술은 전 세계에서도 소수 병원에서만 가능할 정도로 고난도인 데, 이번 사례로 체구가 작은 한국인 환자에게서도 성공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서울대병원은 강조했다. 일반적으로 폐 이식 로봇 수술은 서양인 체형에 최적화돼 있어 한국인처럼 좁은 흉곽 구조를 가진 환자에게는 시도하기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구가 작다 보니 로봇이 수술 부위에 접근하기도 어렵고 로봇의 팔 조작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서다. 이번에 수술받은 환자는 폐섬유증으로 인해 중증 호흡 곤란을 앓아오다 결국 폐 이식을 결정했다. 폐섬유증은 폐 조직이 점차 굳어 기능이 저하되는 만성 질환으로, 약물 치료나 산소 요법만으로는 회복이 어려워 폐 이식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환자는 지난달 19일 폐 이식 로봇 수술을 받은 뒤 현재 자연스러운 호흡이 가능할 정도로 빠르게 회복 중이다. 박샘이나 서울대병원 심장혈관 흉부외과 교수는 "이번 수술은 체구가 작은 환자에게서도 로봇을 활용한 정밀한 폐 이식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중요한 사례"라고 말했다.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은 새 병원 개원과 함께 도입한 방사선 암 치료기 '트루빔'과 '헬시온' 치료 건수 2천건을 넘어섰다고 최근 밝혔다. X선 선형가속기 중 최고 사양을 갖춘 트루빔은 방사선 조사 범위를 세밀하게 조절해 부작용이 적은 암 치료기로 유명하다. 트루빔은 폐암 치료 건수가 155건(19%)으로 가장 많았고, 두경부암 148건(18%), 직장암 130건(16%), 간암 110건(13%), 기타 212건(25%) 등의 순이었다. 뇌종양 치료도 75건(9%)을 기록해 방사선 뇌수술 분야에도 활발하게 활용됐다. 환자맞춤형 암 치료기로 불리는 헬시온은 종양과 주변 장기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 정상 조직은 보호하고, 치료 정확도는 크게 높인다. 헬시온 치료는 유방암 589건(49%)이 가장 많았고, 이어 전립선암 333건(28%), 자궁암 85건(7%), 기타 193건(16%) 등의 순이었다. 이문수 병원장은 "앞으로도 더 많은 환자에게 좋은 치료 결과를 제공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