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수술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 도입…"입원기간 단축"

수술전후 관리지침 '에라스' 대장암 환자에 적용…"심각합병증·재수술률 제로"

 서울대병원은 30일 대장암 환자에게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인 '에라스'(ERAS)를 도입한 결과 입원 기간이 평균 이틀가량 단축됐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환자 중심의 수술 전후 관리 지침으로,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빠른 회복을 유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통상 수술 전후 시행되던 장시간 금식, 침상 안정, 마약성 진통제 위주의 통증 관리를 개별 환자에게 맞춘 최선의 치료·관리 방법으로 대체하는 방식이다.

 대장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금식 최소화, 마약성 진통제 사용 감소, 조기 보행 등을 핵심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해 효과를 확인했다.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프로그램 도입 후 대장암 수술 환자의 입원 일수는 평균 5일에서 3일로 줄었다.

 심각한 합병증 발생률(2.6%), 중환자실 입원율(2.6%), 재수술률(2.6%)은 프로그램 도입 후 모두 0%로 감소했다. 퇴원 후 재입원율은 도입 전 5.3%에서 1.6%로 떨어졌다.

 서울대병원은 이런 성과를 토대로 수술 후 회복향상 프로그램과 관련한 국제 학회 '에라스 소사이어티'(ERAS Society)의 인증도 받았다.

 서울대병원은 앞으로 대장암 외에 다양한 외과 분야 수술 환자에게 이 프로그램을 적용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분명 처방 갈등 속에…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의약품의 '성분명 처방'을 둘러싸고 의사와 약사 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명백한 불법 대체조제가 확인됐다"며 약국 2곳을 고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자체 운영해온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들 가운데 약국 2곳에 대해 약사법 위반으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의협은 이 중 한 곳에선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조제하면서 환자와 의사에게 통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타이레놀 1일 3회 복용량을 2회로 변경해 조제하고 타이레놀 8시간 서방정을 세토펜정으로 변경조제하면서 의사·환자에게 통보하지 않았다는 게 의협 주장이다. 현행 약사법은 처방전 의약품과 성분, 함량 및 제형이 같은 다른 의약품에 대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사전 동의 하에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박명하 의협 부회장은 "불법 대체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는 보건의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기본원칙을 무시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고발은 최근 성분명 처방 허용을 두고 의사와 약사사회가 갈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