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견 입양 감사합니다"…서울 강동구 '리본 홈커밍데이'

 서울 강동구(구청장 이정훈)는 25일 오후 4시에 유기동물 분양센터 '리본'(양재대로81길 73)에서 유기견을 입양한 주민들을 초대해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리본 홈커밍데이' 행사를 연다.

 리본은 유기동물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올바른 반려동물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동물복지 시설로, 2017년 11월 개관 이래 유기견 300여 마리를 새로운 가족에게 분양하거나 원래 주인에게 인도했다.

 홈커밍데이 행사에는 ▲반려견 이름표와 아로마 탈취제 만들기 ▲수의사와 함께하는 반려동물 건강 토크쇼 ▲반려견 문제행동 교정 상담 ▲가족사진 촬영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 등 반려견과 함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반려동물 사료제조업체 네슬레퓨리나, 사단법인 유기견없는도시, 강동구수의사회 등의 후원으로 열린다.

 리본은 최근 올림픽공원 등에서 첫선을 보이며 화제가 된 'SKT-5GX AR동물원' 서비스를 도입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증강현실 환경에서 웰시코기, 알파카, 고양이, 비룡 등 동물들을 불러내 재미있는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강동구 유기동물 분양센터 '리본'으로 문의(☎02-474-6012)하거나, 리본센터 홈페이지(www.reborncenter.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