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천식' 감별 '생물학적 지표' 발굴

포항공대·순천향대 교수팀 "호중구 천식 치료 가능성 제시"

 난치성 천식을 감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발굴됐다. 바이오마커는 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이다.

한국연구재단은 포항공대 이승우 교수·순천향대 부천병원 박춘식 교수 연구팀이 기도 내에 존재하는 '과립구자극인자'(G-CSF)가 호중구 천식을 분류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천식은 기관지가 특정 물질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염증 질환이다.

대부분 천식을 일으키는 염증세포인 '호산구'가 기도에 쌓이면서 발병한다.

일부 백혈구 내 '호중구' 세포가 분비하는 염증 물질로 인해 기도가 손상되는 천식 환자군이 확인됐는데, 호산구 천식 환자와 달리 스테로이드 제제에 저항성을 보인다.

호중구 세포가 스테로이드에 의해 사멸하지 않아 호중구 천식에는 현재까지 특별한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연구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골수에서 백혈구를 만드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과립구자극인자가 호중구 천식 환자에서 호산구 천식 환자와 비교해 12배 이상 높게 발현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제 호중구 천식 환자의 가래에서도 과립구자극인자가 호산구 천식 환자보다 3배 이상 높게 발현됐다.

과립구자극인자가 호중구 천식 환자에서 높게 나타나는 원인도 밝혀냈다.

호중구 천식의 원인이 되는 염증 물질이 기도 상피세포를 자극하면 과립구자극인자가 분비되고, 과립구자극인자는 혈류를 통해 골수로 이동, 호중구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천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항체를 이용해 과립구자극인자를 만드는 염증 물질을 억제하자 과립구자극인자가 눈에 띄게 줄면서 천식 반응이 감소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이승우 교수는 "과립구자극인자의 농도를 바탕으로 호중구 천식 환자를 분류하고, 이미 상용화된 항체를 이용해 난치성 천식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유럽호흡기학회저널'(European Respiratory Journal) 지난달 19일 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개원가에 쏟아지는 전공의 8천명…"페이닥터 월급 이미 반토막"
오는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지원자가 극히 적은 가운데, 전문의 취득을 포기한 이들이 개원가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일시에 몰려들면서 당장 급여 수준이 뚝 떨어지는 등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피부, 미용 등 인기가 많은 분야는 이미 포화상태 조짐을 보인다. 일부는 미국 등 해외 진출로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당수가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전공의들, 복귀 대신 개원가로…8천명 쏟아져나와 3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인턴과 레지던트를 모집하는 126개 의료기관은 이날 오후 5시 지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천645명인데, 지금까지는 지원한 전공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탈 전공의 7천648명이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됐는데, 이들이 전공의 수련과정을 포기하고 개원가 등 의료시장으로 쏟아져나온다는 얘기다. 지역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일단은 일반의로 살다가 다음에 상황을 보면서 수련을 이어 나갈지 결정할 생각"이라며 "사직한 전공의 대부분이 9월 모집에는 지원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코로나 유행 끝나자 작년 '감기에 항생제 처방' 20여년만에 늘어
코로나19 유행이 끝난 뒤 첫해인 작년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20여 년 새 처음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바이러스 의한 감염이어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지만, 방역 조치 완화 이후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한 것이 항생제 처방률을 반등시킨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1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했다.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항생제, 주사제 등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약제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2001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병이어서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심평원은 이들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해 항생제 오남용 정도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 작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보다 9.06%포인트 증가했다. 항생제처방률은 2002년 73.33%였던 것이 꾸준히 감소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작년 상승했다. 급성하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 역시 2022년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