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항암 유전자 p53, 나노입자 전령 RNA로 복원"

하버드의대 브리검 여성병원, 저널 '사이언스 중개 의학'에 논문

 항암 유전자의 대표 격인 p53은 '유전체의 수호자'로 불린다.

 그런데 각종 암에서 가장 흔하게 돌연변이가 발견되는 유전자도 p53이다. 암을 억제해야 할 유전자가 도리어 변이해 암을 일으키는 셈이다.

 p53과 같은 항암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켰을 때 그 기능을 복원하는 건 의학계의 오랜 관심사이고, 많은 과학자가 관련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이전의 연구에선 가장 흔한 간암 유형인 간세포암의 약 36%, 비소세포 폐암의 약 68%에 p53 돌연변이가 생긴 것으로 보고됐다.

 미국 하버드 의대의 브리검 여성병원 과학자들이, 합성한 나노입자 '전령 RNA(mRNA)'로, 돌연변이가 생긴 p53 유전자를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복구된 p53은 특히 폐암과 간암 세포의 성장을 늦추고, 특정 항암 치료제에 대한 암세포의 반응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 논문은 최근 저널 '사이언스 중개 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실렸다.

 이 병원이 지난 24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손상된 p53의 기능을 복원했을 때 성장이 느려지는 건, p53이 결핍됐던 폐암과 간암 세포였다. 에베로리무스(everolimus)라는 mTOR 억제 항암제에 더 좋은 반응을 보인 것도 바로 p53이 결핍됐던 암세포였다.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스 진 쥔(Jin jun Shi) 마취과 교수는 "mTOR 억제제는 특정 유형의 암 치료에는 승인되기는 했지만, 임상 시험에서 다수의 흔한 암에 잘 듣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p53의 유전 신호가 온전히 전사된 합성 mRNA를 만들기 위해 '산화 환원 반응(redox-responsive)' 나노입자 기술 플랫폼을 이용했다. 그렇게 개발한 게 '지질-중합체 하이브리드(lipid-polymer hybrid)' mRNA이다.

 이  합성 mRNA는, p53이 결여됐던 폐암 및 간암 세포에서, 세포 주기 중지와 세포 사멸을 유도했고, mTOR 억제제에 대한 민감성을 높였다.

 이런 작용은 시험관 실험과 동물 실험에서 모두 확인됐다.

 논문의 저자들은 "이번에 개발된 mRNA 나노입자 접근법을 많은 다른 유형의 암 억제 유전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라면서 "다른 치료법과 연계해 효과적인 복합 항암 치료법으로 쓸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상급종합병원은 '중환자 중심'…실손보험·의사면허까지 손본다
하반기 모집으로도 대부분 전공의가 돌아오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정부가 전공의 의존도가 높았던 상급종합병원의 구조 전환 등을 포함한 1차 의료개혁 방안을 곧 내놓는다. 정부는 올해 12월 실손보험 구조 개혁 등 2차 개혁방안에 이어, 내년에는 면허제도 선진화를 포함한 3차 개혁방안까지 차례로 내놓는다는 방침이다. 특히 의료인력 수급과 관련해 2026년 의대 정원 논의에 대한의사협회(의협),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등이 일찍 참여할수록 논의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31일 의료개혁 추진상황 및 일정 설명회를 열고 이렇게 밝혔다. 복지부는 초고령사회 진입 초기인 향후 10년을 의료개혁의 마지막 '골든타임'으로 보고, 개혁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우선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의료이용·공급체계 혁신, 인력수급 추계·조정체계 합리화, 전공의 수련 혁신, 중증·필수의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인상 등을 포함한 1차 개혁안을 8월 말까지 내놓는다. 정경실 의료개혁 추진단장은 "보건의료 분야에 해묵은 정책 수요가 한꺼번에 터져 나오는 상황이라 개혁안을 준비 중"이라며 "우선 (개혁) 실마리가 될 수 있는 것들을 모아 의료개혁특별위원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