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살충제 '피레스로이드' 노출되면 심장병 사망 위험↑"

 가정용으로 많이 쓰이는 피레스로이드(pyrethroid pesticide)계 살충제 노출이 심장병 사망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아이오와대학 보건대학 바오웨이(Wei Bao) 역학 교수 연구팀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많이 노출되면 적게 노출된 사람보다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30일 보도했다.

 1999~2002년 사이에 전국 보건·영양조사(NHANES)에 참가한 2천여 명(20세 이상)의 소변 중 피레스로이드 수치 측정 자료와 2015년까지의 사망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피레스로이드 살충제 노출 최상위 그룹은 최하위 그룹에 비해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56%,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은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그러나 피레스로이드 살충제 노출이 심혈관질환 사망 원인이라는 증거는 아니며 둘 사이에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피레스로이드 노출 경로는 알 수 없으나 이 살충제가 뿌려진 과일, 야채 등 식품이나 정원에서 사용된 피레스로이드일 것으로 연구팀은 추측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내과학'(JAMA Internal Medicine) 온라인판(12월 30일)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환자 60% '처방약 부작용 관련 약사 설명 부족'"
환자에게 처방약 부작용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는 약사가 부족하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손현순 차의과학대학교 약대 교수 연구팀은 한국임상약학회지 최신호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 신분으로 최근 1년간 병원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서 처방약을 지어본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성인 189명을 대상으로 약사의 처방약 관련 부작용 설명이 충분했는지 여부 등을 온라인 설문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약사의 처방 조제약 부작용 설명이 충분했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이 59.7%로 '그렇다'고 답한 비율(40.2%)보다 높았다.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도 19%였다. 이는 약사의 부작용 설명 수준이 국민 기대치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실제 이번 설문 응답자 가운데 98.9%는 약사가 처방 조제약의 부작용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냐는 질문에 '중요하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약사가 부작용 안내에 대한 환자 측 기대를 반영하고 약물 관련 문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복약지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난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