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마비 반흔 조직 개선하는 단백질 치료법 개발"

호주 시드니대 연구진, '사이언스 중개 의학'에 논문

 세계적으로 질병 사망 원인 1위는 현재 암이 아니라 심장 질환이다.

 호주 과학자들이 심근 경색(심장마비) 환자의 생존율을 대폭 높일 수 있는 'rhPDGF-AB'라는 단백질 치료제를 개발했다. 우리 말로 옮기면 '재조합형 인간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AB'라는 뜻이다.

 심장마비 후에는 반흔 조직(scar tissue)이 생겨 심장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rhPDGF-AB를 심장마비 환자에 투여하면 반흔 조직이 개선되고, 새 혈관이 생성되며, 돌연사를 유발하는 부정맥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현재는 심장마비 환자의 반흔 조직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신속히 혈액과 산소의 심장 공급을 복원하는 데 주력할 뿐이다.

 이 연구를 수행한 호주 시드니대와 웨스트 미드 의학연구소(WIMR) 연구진은 1일(현지시간) 관련 논문을 '사이언스 중개 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발표했다.

 시드니대가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에 따르면 10년 넘게 이 프로젝트에 매달려 온 연구팀은 마침내 두 종의 동물 실험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제임스 충 의대 부교수는 "심장마비로 생긴 반흔 조직을 이렇게 개선하는 치료법은 지금까지 없었다"라면서 "rhPDGF-AB로 치료하면 심장마비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동물실험을 더 진행해, 이 치료법의 안전성과 적정 투여량 등을 검증한 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반흔 조직이 생긴 신장 등 다른 장기에 rhPDGF-AB 치료법을 쓸 수 있는지도 연구할 것이라고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개원가에 쏟아지는 전공의 8천명…"페이닥터 월급 이미 반토막"
오는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지원자가 극히 적은 가운데, 전문의 취득을 포기한 이들이 개원가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일시에 몰려들면서 당장 급여 수준이 뚝 떨어지는 등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피부, 미용 등 인기가 많은 분야는 이미 포화상태 조짐을 보인다. 일부는 미국 등 해외 진출로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당수가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전공의들, 복귀 대신 개원가로…8천명 쏟아져나와 3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인턴과 레지던트를 모집하는 126개 의료기관은 이날 오후 5시 지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천645명인데, 지금까지는 지원한 전공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탈 전공의 7천648명이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됐는데, 이들이 전공의 수련과정을 포기하고 개원가 등 의료시장으로 쏟아져나온다는 얘기다. 지역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일단은 일반의로 살다가 다음에 상황을 보면서 수련을 이어 나갈지 결정할 생각"이라며 "사직한 전공의 대부분이 9월 모집에는 지원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코로나 유행 끝나자 작년 '감기에 항생제 처방' 20여년만에 늘어
코로나19 유행이 끝난 뒤 첫해인 작년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20여 년 새 처음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바이러스 의한 감염이어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지만, 방역 조치 완화 이후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한 것이 항생제 처방률을 반등시킨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1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했다.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항생제, 주사제 등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약제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2001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병이어서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심평원은 이들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해 항생제 오남용 정도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 작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보다 9.06%포인트 증가했다. 항생제처방률은 2002년 73.33%였던 것이 꾸준히 감소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작년 상승했다. 급성하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 역시 2022년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