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뛰게 하는 심폐 운동, 뇌세포 증가시켜"

 빠른 걸음 걷기, 달리기 같은 심장을 뛰게 하는 심폐 운동(cardiorespiratory exercise)이 뇌세포를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독일 신경퇴행질환센터의 카타리나 비트펠트 박사 연구팀은 심폐 운동이 뇌 전체와 회색질 전체 그리고 인지기능과 관련된 회색질 특정 부위들의 용적(volume)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4일 보도했다.

 성인 2천103명(21~84세)을 대상으로 운동 부하 심폐 기능을 측정하고 뇌 MRI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자전거 운동 부하기를 통해 심폐 운동에 의한 최대 산소 섭취량(peak oxygen uptake)을 측정하고 MRI로 뇌 용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심폐 기능이 높을수록 뇌 전체 용적과 회색질 용적 그리고 회색질의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 변화와 관련된 부위들인 중간 측두회(left middle temporal gyrus), 우측 해마회(right hippocampus gyrus), 좌측 안와전두피질(left orbitofrontal cortex), 양측 대상피질(bilateral cingulate cortex)의 용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연령, 성별, 교육 수준, 흡연, 체중, 혈압, 혈당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것이다.

 이는 에어로빅 운동이 인지기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뇌는 신경 세포체로 구성된 겉 부분인 피질과 신경세포를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린 속 부분인 수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피질은 회색을 띠고 있어 회색질(gray matter), 수질은 하얀색을 띠고 있어 백질이라고 불린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메이요 클리닉 회보(Mayo Clinic Proceedings) 신년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환자 60% '처방약 부작용 관련 약사 설명 부족'"
환자에게 처방약 부작용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는 약사가 부족하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손현순 차의과학대학교 약대 교수 연구팀은 한국임상약학회지 최신호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 신분으로 최근 1년간 병원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서 처방약을 지어본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성인 189명을 대상으로 약사의 처방약 관련 부작용 설명이 충분했는지 여부 등을 온라인 설문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약사의 처방 조제약 부작용 설명이 충분했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이 59.7%로 '그렇다'고 답한 비율(40.2%)보다 높았다.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도 19%였다. 이는 약사의 부작용 설명 수준이 국민 기대치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실제 이번 설문 응답자 가운데 98.9%는 약사가 처방 조제약의 부작용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냐는 질문에 '중요하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약사가 부작용 안내에 대한 환자 측 기대를 반영하고 약물 관련 문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복약지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난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