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백신에 암 성장 억제 효과 있다"

미 러시 대학교 연구진,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논문

 다수의 암 환자는, 면역세포가 결여된 종양을 갖고 있다. 이런 '차가운' 종양은 암에 맞서 싸우는 면역체계의 저항력을 억제한다.

 반대로 암 종양의 면역 세포를 늘리면, 면역계의 암세포 탐색 능력이 향상된다. 이런 '뜨거운' 종양은 암 치료제에도 좋은 반응을 보여 환자의 생존율이 높아진다.

 '차가운' 암 종양에 독감 백신을 주입하면 '뜨거운' 종양으로 변한다는 걸 미국 러시 대학교 과학자들이 생쥐 실험에서 발견했다. 생쥐의 몸에 생긴 종양 한 개에만 백신을 넣으면 다른 종양까지 성장이 억제된다는 것도 확인됐다.

 이 실험에는 미국 FDA(식품의약국)의 승인을 받은 계절 독감 백신도 사용됐다. 이는 독감 백신을 이용한, 새로운 암 면역치료법 개발이 가능하다는 걸 시사한다.

 러시대 연구진은 최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7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올라온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일부 암 면역치료에선 지금도 살아 있는 병원체를 쓴다. 하지만 이런 치료법은 일부 환자만 지속적인 효과를 볼 수 있고, 반응하는 암 유형도 제한적이다.

 이번 연구의 실마리는 국립암센터(NCI)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나왔다.

 폐암 환자가 독감 바이러스의 폐 감염으로 입원한 경우 독감에 걸리지 않은 폐암 환자보다 더 오래 산다는 게 조사 과정에서 드러났다.

 하지만 피부처럼 독감 바이러스가 감염되지 않는 부위의 종양에선 동일한 결과가 재현되지 않았다.

 그래서 연구진은 자체 기술로 독감 백신을 만든 뒤 생쥐의 흑색종에 직접 주입해 봤다. 그랬더니 종양의 성장 속도가 느려지거나 종양의 크기가 작아졌다.

 백신을 주입하면 면역계를 자극하는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의 종양 내 점유율이 높아지고, 종양  세포를 공격해 죽이는 'CD8+ T세포'가 증가했다. 백신이 종양을 뜨겁게 만든 것이다.

 특이하게도 생쥐의 몸 한쪽에 생긴 흑색종에 백신을 주입하면, 해당 종양은 물론이고 백신을 주입하지 않은 다른 쪽 종양까지 크기가 작아졌다.

 삼중 음성 유방암(metastatic triple-negative breast cancer)이 폐로 전이된 생쥐 실험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유방의 원발 암에만 백신을 주입했는데도 폐의 종양까지 성장이 억제됐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러시대 의대의 앤드루 즐로자 내과 조교수는 "희망을 갖고 추정컨대, 하나의 종양에 독감 백신을 주입하면 같은 환자의 다른 종양에도 면역 반응이 생기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요즘 주목받는 '면역 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를 쓰면서 동시에 독감 백신을 주입하면 종양 성장 억제 효과가 더 커졌다.

 하지만 면역관문 억제제에 반응하든 반응하지 않든 상관없이, 독감 백신만 단독으로 투여해도 종양의 성장엔 제동이 걸렸다.

 연구팀은 이번에 2017~2018 독감 시즌에 FDA 승인을 받은 백신 5종을 시험했는데 이 중 4종이 자체 개발한 백신과 동일한 효과를 보였다.

 즐로자 교수는 "사람과 생쥐는 유전자의 95%가 일치해 이런 접근법이 암 환자한테도 통하기를 기대한다"라면서 "임상 시험을 통해 다양한 변수를 시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통상 4단계로 진행되는 임상시험을 제대로 하려면 8년 내지 10년이 소요된다. 하지만 계절 독감 백 신은 이미 FDA 승인을 받아서 임상시험 기간이 대폭 단축될 수도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분명 처방 갈등 속에…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의약품의 '성분명 처방'을 둘러싸고 의사와 약사 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명백한 불법 대체조제가 확인됐다"며 약국 2곳을 고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자체 운영해온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들 가운데 약국 2곳에 대해 약사법 위반으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의협은 이 중 한 곳에선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조제하면서 환자와 의사에게 통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타이레놀 1일 3회 복용량을 2회로 변경해 조제하고 타이레놀 8시간 서방정을 세토펜정으로 변경조제하면서 의사·환자에게 통보하지 않았다는 게 의협 주장이다. 현행 약사법은 처방전 의약품과 성분, 함량 및 제형이 같은 다른 의약품에 대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사전 동의 하에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박명하 의협 부회장은 "불법 대체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는 보건의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기본원칙을 무시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고발은 최근 성분명 처방 허용을 두고 의사와 약사사회가 갈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