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역 공공의료 현장의 의사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한의사' 인력의 참여 확대를 적극 검토한다.
병역 의무를 대신해 의료 취약지에서 근무하는 공중보건의사(공보의) 수가 급감하며 농어촌 등 지역의료에 '구멍'이 생기자 한의사의 역할을 강화해 공백을 메우겠다는 복안이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국회에서 제기된 '공중보건의사 감소에 따라 한의사의 참여와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정책 제안에 "공감한다"는 입장을 24일 밝혔다.
이런 배경에는 지역의료 공백 사태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위기감이 자리 잡고 있다.
최근 병역 자원 감소와 군 장병 처우 개선 등의 여파로 현역 입대를 선택하는 의대생이 늘면서 신규 편입되는 의과 공보의 수가 해마다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이는 통계로도 확인되는 사실이다.
이로 인해 지방 소도시나 농어촌 지역의 보건지소와 지방의료원은 당장 문을 닫아야 할지도 모른다는 우려에 직면했다. 당장 몸이 아픈 지역 주민들에게는 필수적인 의료 접근성이 위협받는 심각한 문제다.
정부가 '한의사' 카드를 검토하는 이유는 의사 인력을 당장 늘리기는 어려운 현실 속에서 상대적으로 인력 활용에 여유가 있는 한의사가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 방안을 두고 기대와 우려의 시선이 교차한다.
한의계 등은 농어촌 지역에 고령 인구가 많아 만성질환 관리나 근골격계 통증(허리, 무릎 등) 치 료 수요가 높은 만큼 한의사들이 '주민 건강 주치의'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침, 뜸, 한약 등을 활용한 한의 공공보건사업이 지역민의 만성질환 관리에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는 일부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반면, 의료계 일각에서는 신중론을 제기한다. 한의 진료와 의과 진료는 영역이 다른데 의사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그 자리를 한의사로 대체하는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응급 처치나 외과적 수술이 필요한 상황까지 한의사가 감당하기는 어렵다는 현실적 한계도 거론된다.
정부가 '적극 검토'에 나선 만큼 공공의료 현장에서 한의사의 역할이 커질 가능성은 커졌다.
당장 의사가 없어 불안에 떠는 지역 주민들의 의료 공백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한의사 투입이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