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 간에 전이한 종양 성장 촉진"

캐나다 맥길대 연구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논문

 스테로이드계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여성의 대장·췌장·폐 등에 생겨서 간(肝)으로 전이된 암 종양의 성장을 촉진한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또한 간의 면역 미세환경(immune microenvironment)이 암컷과 수컷의 전이성 암세포에 다르게 반응한다는 것도 처음 밝혀졌다.

 캐나다의 맥길대 보건센터(RI-MUHC) 연구진은 이런 내용의 논문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16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간으로 전이된 암에 작용하는 면역 미세환경이 생쥐 암수에서 다르게 제어된다는 발견에서 이번 연구는 시작됐다.

 연구진은 대장·췌장·폐에 암이 생기게 조작한 생쥐를 모델로, 간으로 전이하는 암세포 사이의 상호 작용과 간 특유의 미세 환경을 관찰했다.

 대장·췌장·폐에 발생하는 암은, 성 편향성( sex bias)이 분명하지 않고, 성호르몬에 의존해 성장하지도 않는 유형이다.

 이 실험에서 연구팀은, 간의 전이 부위가 넓어지는 데 에스트로겐이 작용한다는 걸 발견했다. 암 종양의 간 전이는, 주요 암 사망 원인 가운데 하나다.

 에스트로겐은, MDSC(골수 유래 억제 세포)나 면역억제 대식세포와 같은 골수 유래 면역세포가 간에서 늘어나는 정도를 조절했다.

 암세포가 간에 전이했을 때 골수 등에서 투입되는 면역세포는 암세포를 죽이는 능력을 갖췄다.

하지만 종양 전이 이후의 미세환경에 처하면 거꾸로 면역을 억제하고 종양 성장을 촉진하는 작용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암세포의 성장에 관여하지 않던 MDSC가, 간에 전이한 종양 주변의 미세환경이 변화하면 암세포 성장에 직접 작용했다.

 논문의 제1 저자인 프니나 브로트 교수는 "MDSC는, 암세포를 죽이는 게 역할인 T림프구의 작용을 방해해, 전이된 암 종양의 성장을 되레 촉진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RI-MUHC 암 연구 프로그램의 수석 과학자로서 외과·종양학과 교수를 맡고 있다.

 에스트로겐은 면역에 저항하는 환경을 유도해 종양 세포의 성장을 도왔다. 그래서 에스트로겐을 제거하면 MDSC의 축적과 활동 수위가 낮아졌다.

 브로트 교수는 "젊은 층에서 대장암 환자가 늘고 있는 점 등을 생각할 때, 성별로 더 특화된 치료 전략을 세우려면 이번 연구 결과가 충분히 검토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개원가에 쏟아지는 전공의 8천명…"페이닥터 월급 이미 반토막"
오는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지원자가 극히 적은 가운데, 전문의 취득을 포기한 이들이 개원가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일시에 몰려들면서 당장 급여 수준이 뚝 떨어지는 등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피부, 미용 등 인기가 많은 분야는 이미 포화상태 조짐을 보인다. 일부는 미국 등 해외 진출로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당수가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전공의들, 복귀 대신 개원가로…8천명 쏟아져나와 3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인턴과 레지던트를 모집하는 126개 의료기관은 이날 오후 5시 지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천645명인데, 지금까지는 지원한 전공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탈 전공의 7천648명이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됐는데, 이들이 전공의 수련과정을 포기하고 개원가 등 의료시장으로 쏟아져나온다는 얘기다. 지역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일단은 일반의로 살다가 다음에 상황을 보면서 수련을 이어 나갈지 결정할 생각"이라며 "사직한 전공의 대부분이 9월 모집에는 지원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코로나 유행 끝나자 작년 '감기에 항생제 처방' 20여년만에 늘어
코로나19 유행이 끝난 뒤 첫해인 작년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20여 년 새 처음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바이러스 의한 감염이어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지만, 방역 조치 완화 이후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한 것이 항생제 처방률을 반등시킨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1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했다.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항생제, 주사제 등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약제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2001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병이어서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심평원은 이들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해 항생제 오남용 정도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 작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보다 9.06%포인트 증가했다. 항생제처방률은 2002년 73.33%였던 것이 꾸준히 감소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작년 상승했다. 급성하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 역시 2022년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