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이용, MRI 강조영상 얻어…불편 해소·의료비 절감

KAIST·건국대 연구팀 개발…기존 수차례 재촬영 해결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뇌공학과 예종철 교수와 건국대 의대 문원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재촬영을 하지 않고도 자기공명영상(MRI) 강조영상을 얻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MRI는 영상의 대조도(contrast)를 조절해 종양이나 병변을 고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는 진단 장비이다.

 이를 통해 뇌종양을 진단하는 데 활용되는 T1·T2 강조영상, T1 조영증강 영상 등 여러 강조영상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장의 강조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촬영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고, 잡음이나 인공음영 등으로 인해 수차례 재촬영을 해야 한다.

 최근 인공지능 분야에서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이라는 딥러닝 방식을 이용해 영상을 합성하는 기술이 보고되고 있지만, 미리 학습해야 하는 네트워크가 너무 많아 확장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협조·생성적 적대신경망'(CollaGAN)이라는 기술을 자체 개발, MRI 강조영상의 공통적 특징을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확장성 문제를 해결했다.

 우선 여러 개의 강조영상 중 일부 영상이 없어지더라도 남아있는 영상을 통해 사라진 영상을 복원할 수 있는 기법을 학습하도록 했다.

 이어 합성된 영상의 임상적 정확도를 평가해 강조영상 간 중요도를 자동으로 평가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T1·T2 강조영상 등 인체 조직의 내재적 특성에 기인한 내인성 대조영상의 경우 재촬영을 하지 않고도 다른 강조영상으로부터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합성 MRI 기법에서 생기는 인공음영 영상도 이 기술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문원진 교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합성 영상을 임상 현장에 적용하면 재촬영으로 인한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의료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머신 인텔리전스'(Nature Machine Intelligence)' 지난 18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개원가에 쏟아지는 전공의 8천명…"페이닥터 월급 이미 반토막"
오는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지원자가 극히 적은 가운데, 전문의 취득을 포기한 이들이 개원가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일시에 몰려들면서 당장 급여 수준이 뚝 떨어지는 등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피부, 미용 등 인기가 많은 분야는 이미 포화상태 조짐을 보인다. 일부는 미국 등 해외 진출로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당수가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전공의들, 복귀 대신 개원가로…8천명 쏟아져나와 3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인턴과 레지던트를 모집하는 126개 의료기관은 이날 오후 5시 지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천645명인데, 지금까지는 지원한 전공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탈 전공의 7천648명이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됐는데, 이들이 전공의 수련과정을 포기하고 개원가 등 의료시장으로 쏟아져나온다는 얘기다. 지역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일단은 일반의로 살다가 다음에 상황을 보면서 수련을 이어 나갈지 결정할 생각"이라며 "사직한 전공의 대부분이 9월 모집에는 지원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코로나 유행 끝나자 작년 '감기에 항생제 처방' 20여년만에 늘어
코로나19 유행이 끝난 뒤 첫해인 작년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20여 년 새 처음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바이러스 의한 감염이어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지만, 방역 조치 완화 이후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한 것이 항생제 처방률을 반등시킨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1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했다.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항생제, 주사제 등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약제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2001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병이어서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심평원은 이들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해 항생제 오남용 정도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 작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보다 9.06%포인트 증가했다. 항생제처방률은 2002년 73.33%였던 것이 꾸준히 감소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작년 상승했다. 급성하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 역시 2022년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