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로 코로나19 백신 개발 팔걷어"

인실리코 메디슨, 의약 화합물 데이터베이스 무료 제공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신약 연구개발((R&D)을 하는 한 스타트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발 벗고 나섰다.

 미국과 홍콩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신약 개발 스타트업인 인실리코 메디슨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자사의 의약 화합물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제약 회사들에 무료로 공개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7일 보도했다.

 인실리코 메디슨은 지난주 자사 웹사이트를 통해 수백 가지 화합물의 분자 구조에 대한 정보를 공개했다. 이들 정보는 국제적인 제약회사들이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에서 이뤄졌다.

 이 회사는 현재 제약 회사 및 신약 개발 전문가들로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으며, 이들과 협력해 최대 100개의 화학물질을 합성하고 실험할 계획이라고 SCMP는 전했다.

 인실리코 메디슨의 알렉스 자보론코프 공동 설립자 겸 CEO는 "단기적으로는, 에이즈(HIV)와 같은 다른 질병 치료를 위해 개발된 기존의 분자들을 다른 목적에 맞게 만드는 것이 정당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또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독자적으로 5∼6개 화합물에 대한 합성 및 실험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실리코 메디슨은 2014년에 설립된 의료 관련 스타트업이며, AI 기술을 적용해 평균 15년가량 걸리는 신약 연구개발 기간을 3년 이하로 대폭 줄였다.

 자보론코프 CEO는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는데 최소 1년이 소요되고, 제품을 생산하는 데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에이즈 및 독감 치료제, 심지어는 중국의 한약까지 코로나19의 잠재적인 치료제로 거론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개원가에 쏟아지는 전공의 8천명…"페이닥터 월급 이미 반토막"
오는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지원자가 극히 적은 가운데, 전문의 취득을 포기한 이들이 개원가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일시에 몰려들면서 당장 급여 수준이 뚝 떨어지는 등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피부, 미용 등 인기가 많은 분야는 이미 포화상태 조짐을 보인다. 일부는 미국 등 해외 진출로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당수가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전공의들, 복귀 대신 개원가로…8천명 쏟아져나와 3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인턴과 레지던트를 모집하는 126개 의료기관은 이날 오후 5시 지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천645명인데, 지금까지는 지원한 전공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탈 전공의 7천648명이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됐는데, 이들이 전공의 수련과정을 포기하고 개원가 등 의료시장으로 쏟아져나온다는 얘기다. 지역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일단은 일반의로 살다가 다음에 상황을 보면서 수련을 이어 나갈지 결정할 생각"이라며 "사직한 전공의 대부분이 9월 모집에는 지원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코로나 유행 끝나자 작년 '감기에 항생제 처방' 20여년만에 늘어
코로나19 유행이 끝난 뒤 첫해인 작년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20여 년 새 처음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바이러스 의한 감염이어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지만, 방역 조치 완화 이후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한 것이 항생제 처방률을 반등시킨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1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했다.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항생제, 주사제 등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약제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2001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병이어서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심평원은 이들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해 항생제 오남용 정도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 작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보다 9.06%포인트 증가했다. 항생제처방률은 2002년 73.33%였던 것이 꾸준히 감소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작년 상승했다. 급성하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 역시 2022년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