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로 전이한 유방암 세포, 동면상태로 있다가 2차 암 재발"

특정 유전자 발현으로 전이 부위 조직과 결합, 보호까지 받아
영국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네이처 세포 생물학'에 논문

 원발성 유방암의 일부 세포 무리는 혈액이나 림프계를 타고 폐, 간, 뇌, 뼈 등 다른 부위로 퍼진다.

 유방암 세포가 폐로 전이한 뒤 2차 암으로 재발하는 데는 보통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그 과정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영국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폐로 전이한 유방암 세포는, 건강한 폐 세포의 도움을 받아 동면 상태로 잠복해 있다가 2차 암으로 재발한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생쥐 실험에서 전이 세포의 동면과 생존에 관여하는 유전자도 찾아냈다.

 이 발견은 향후 암세포가 다른 부위로 옮겨가 2차 암으로 재발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식으로 재발하는 암은 유방암 외에도 여럿 있다.

 영국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의 에릭 사하이 박사팀은 이런 내용의 논문을 저널 '네이처 세포 생물학(Nature Cell Biology)'에 발표했다. 사하이 박사는 이 연구소 '종양 세포 생물학 랩(실험실)'의 연구 그룹 리더다.

 24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유방에서 떨어져 나온 암세포가 폐에 도착하면 폐 세포는 즉각 정착을 유도하는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를 받은 유방암 세포는, 모양이 변하면서 폐 조직과 결합해 돌출부위로 자라고, 건강한 폐 세포는 이 상태에서 유방암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이한 유방암 세포가 폐 조직의 돌출부위로 성장하는 걸 약물로 방해하면, 2차 종양의 형성이 대조군보다 억제됐다.

 연구팀은 또한 유방암 세포의 동면 상태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분석해, 돌출부위 형성과 폐 조직에서의 생존을 제어하는 핵심 유전자(sFRP2)를 찾아냈다.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사하이 박사는 "동면 상태의 암세포는 다년간 다른 신체 부위의 일부분으로 생존할 수 있다"라면서 "폐 세포가 어떻게 전이한 유방암 세포를 돕는지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치료 표적을 열게 됐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소 과학자들은 전이한 암세포와 전이 부위의 건강한 세포 간의 상관관계를 계속 연구하고 있다. 특히 대장암과 흑색종 세포가 간(liver)에 2차 종양을 형성할 때 어떤 메커니즘이 작용하는지가 이들의 주요 관심사다.

 한편 영국에서는 매년 유방암 진단을 받는 환자가 약 5만5천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개원가에 쏟아지는 전공의 8천명…"페이닥터 월급 이미 반토막"
오는 9월 수련을 재개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지원자가 극히 적은 가운데, 전문의 취득을 포기한 이들이 개원가로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일시에 몰려들면서 당장 급여 수준이 뚝 떨어지는 등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피부, 미용 등 인기가 많은 분야는 이미 포화상태 조짐을 보인다. 일부는 미국 등 해외 진출로 눈을 돌리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당수가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전공의들, 복귀 대신 개원가로…8천명 쏟아져나와 3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인턴과 레지던트를 모집하는 126개 의료기관은 이날 오후 5시 지원서 접수를 마감한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인원은 7천645명인데, 지금까지는 지원한 전공의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탈 전공의 7천648명이 사직 및 임용 포기로 처리됐는데, 이들이 전공의 수련과정을 포기하고 개원가 등 의료시장으로 쏟아져나온다는 얘기다. 지역 수련병원에서 사직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일단은 일반의로 살다가 다음에 상황을 보면서 수련을 이어 나갈지 결정할 생각"이라며 "사직한 전공의 대부분이 9월 모집에는 지원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코로나 유행 끝나자 작년 '감기에 항생제 처방' 20여년만에 늘어
코로나19 유행이 끝난 뒤 첫해인 작년 흔히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이 20여 년 새 처음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바이러스 의한 감염이어서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지만, 방역 조치 완화 이후 호흡기 감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행한 것이 항생제 처방률을 반등시킨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31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했다.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항생제, 주사제 등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약제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2001년부터 실시되고 있다.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과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질병이어서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기 때문에 심평원은 이들 질병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을 산출해 항생제 오남용 정도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 작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보다 9.06%포인트 증가했다. 항생제처방률은 2002년 73.33%였던 것이 꾸준히 감소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가 작년 상승했다. 급성하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 역시 2022년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