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중추신경 침범 가능성…마스크 쓸 땐 '코' 잘 가려야"

중·일 연구팀 "환자 항바이러스치료 가능한 한 빨리 이뤄져야"
"구강·결막보다 코로 침투…두통·구토 등 증상 연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두통, 구역, 구토 등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고 자발적 호흡이 어려워지는 건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거쳐 중추신경계를 침범했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연구 결과를 내놓은 연구팀은 코로나바이러스류의 이런 충추신경계 침범이 주로 코를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마스크를 쓸 때 꼭 코를 잘 가리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

 4일 국제학술지 '바이러스학저널(Journal of Medical Virology) 최신호 논문을 보면, 중국 지린대 의과대학과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뇌과학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과거 사스(SARS.급성중증호흡기증후군)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에서 확인된 것처럼 호흡기를 통해 뇌 중추신경계를 침범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지금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호흡기 세포나 폐 세포를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이 논문에서 코로나19 환자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으로 호흡곤란을 꼽았다. 중국 우한시의 경우 호흡 곤란 환자 중 절반 이상이 집중 치료가 필요했고, 중환자실 치료 환자의 46∼65%가 단기간에 악화해 자발적 호흡이 어려워지는 호흡부전으로 사망했다는 통계를 인용했다.

 그러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충추신경계 침투가 코로나19 환자의 급성 호흡 부전에서 일정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이 분석한 환자들은 첫 증상부터 호흡 곤란까지 평균 5일이 걸렸으며 병원 입원까지는 평균 7일, 집중 치료까지는 평균 8일이 각각 소요됐다. 이 정도 시간이면 바이러스가 뇌 속 뉴런(신경세포)에 들어가 신경계를 파괴하기에 충분하다는 게 연구팀의 추론이다.

 특히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두통, 구역·구토 등 신경학적인 징후가 바이러스의 신경계 침투에서 비롯된 것으로 봤다.

 이에 대해 방지환 서울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기존에 인플루엔자(독감) 환자가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한 뒤 추락사한 사고들이 있었는데, 이를 두고 항바이러스제의 부작용이 아니라 인플루엔자의 중추신경 침범 때문으로 보는 의견이 많았다"면서 "코로나19에서도 이런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잠재적인 신경계 침입을 고려할 때, 항바이러스 요법은 가능한 한 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이 연구팀은 권고했다.

 연구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코를 통해 침투했을 때의 호흡부전 발생이 구강 또는 결막 경로보다 더 높을 가능성이 보인다면서 마스크를 쓸 때는 꼭 코를 잘 가려줄 것을 주문했다.

 한양대 의대 응급의학과 강보승 교수는 "코로나19 환자에게 나타나는 호흡부전의 원인이 폐 자체보다는 폐를 움직이는 뇌 속 신경계 병변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개연성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며 "아직 증명된 사실은 아니지만, 마스크 착용에 대한 우려는 일상생활에서 충분히 참고할만하다"고 평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환자 60% '처방약 부작용 관련 약사 설명 부족'"
환자에게 처방약 부작용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는 약사가 부족하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손현순 차의과학대학교 약대 교수 연구팀은 한국임상약학회지 최신호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 신분으로 최근 1년간 병원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서 처방약을 지어본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성인 189명을 대상으로 약사의 처방약 관련 부작용 설명이 충분했는지 여부 등을 온라인 설문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약사의 처방 조제약 부작용 설명이 충분했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이 59.7%로 '그렇다'고 답한 비율(40.2%)보다 높았다.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도 19%였다. 이는 약사의 부작용 설명 수준이 국민 기대치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실제 이번 설문 응답자 가운데 98.9%는 약사가 처방 조제약의 부작용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냐는 질문에 '중요하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약사가 부작용 안내에 대한 환자 측 기대를 반영하고 약물 관련 문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복약지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난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