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산아, '반응성 애착 장애' 나타날 수 있다"

 조산아는 부모와 애착이 형성되지 않는 반응성 애착 장애(RAD: reactive attachment disorder)를 겪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반응성 애착 장애는 5세 이전 영유아기에 아이가 양육자에 갖게 되는 유대감인 애착이 형성되지 못해 사회적 관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런 아이는 사람과 눈을 맞추려 하지 않고 혼자서만 놀려고 하고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어 신체적, 지적, 정서적발달이 지체될 수 있다.

 핀란드 투르쿠(Turku) 대학 소아정신과 연구소의 안드레 수란더 교수 연구팀이 RAD로 진단된 아이 614명과 정상아 2천42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분석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14일 보도했다.

 임신 32주 이전에 태어난 조산아는 RAD를 겪을 가능성이 만기 출산아보다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또 출생 체중이 2.5kg 이하이거나 출생 후 신생아 집중치료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에 들어갔던 아이도 RAD가 나타날 위험이2배 높았다.

 출산 시 부모의 연령, 정신병력, 약물 남용,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수준, 흡연 등이 태어난 아이의 RAD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이러한 변수들을 모두 고려했어도 이 결과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런 아이들은 나중에 정신장애, 약물 남용을 포함한 물질사용 장애(substance use disorder), 사회적 고립을 겪을 위험이 높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결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따라서 조산아를 치료할 때에는 부모와의 애착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배려가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소아과학 기록'(Acta Paediatrica)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진찰료 올리고 응급 150% 가산…'저평가' 의료행위 보상 늘린다
정부가 병·의원 수가(의료행위 대가)를 올리면서 일부 인상분을 저평가돼 있던 의료행위에 투입해 의료행위 간 보상 불균형을 해소한다. 의료기관 유형별로 일괄적으로 수가를 인상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우선순위가 높은 의료 행위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동네의원의 수가를 결정하는 환산지수는 전체 0.5%를 인상하되 진찰료는 각각 4%씩 올린다. 또 병원은 1.2% 올리지만, 야간·공휴일·응급 의료행위를 더 쳐주는 식으로 보상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오후 올해 제15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의원·병원의 환산지수 결정안을 의결했다.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에서 의료기관에 지급하는 수가는 의료행위별로 정해지는 '상대가치점수'에 '환산지수'를 곱한 값이다. 환산지수는 매년 건강보험공단이 병원, 의원, 약국, 한의 등 7개 의약 단체와 각각 협상해 인상률을 결정한다. 지난 5월 말 협상에서 치과, 한의, 약국, 조산원 등의 내년도 환산지수 인상률이 먼저 타결됐고, 당시 결렬됐던 의원과 병원은 이날 건정심에서 가결됐다. 건정심은 이날 병·의원 환산지수를 결정하면서 일괄적인 인상이 아닌 저평가 항목의 보상을 강화하는 데 주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