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기술로 인슐린 분비 조직 배양 성공...당뇨병 치료 '청신호'

 대부분 30세 이전에 발병하는 제1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의 파괴로 인슐린 공급이 부족해지는 병이다.

 어린이가 많이 걸려 과거엔 소아 당뇨병이라 부르기도 했지만, 지금은 그렇게 쓰지 않는다.

 1형 당뇨병은 매우 위험하고 고통스러운 병이다. 환자가 생명을 유지하려면 평생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건강한 기증자의 췌장 조직에서 분리한 랑게르한스섬을 이식하는 게 지금으로선 마지막 치료적 대안이다.

 그러나 이것 또한 면역 억제제를 지속해서 복용해야 하는 불편과 위험이 따른다. 면역 능력을 지나치게 억제하면 감염 등 질병 발생의 위험이 커진다.

 평생 혈당치와 싸워야 하는 1형 당뇨병 환자에게 희소식이 될 만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소크 연구소 과학자들이 줄기세포 기술을 이용해 인슐린을 분비하는 랑게르한스섬 오르가노이드(미니 장기나 조직)를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이 인공 랑게르한스섬은 면역 억제제를 쓰지 않아도 충분한 양의 인슐린을 만드는 것으로 동물 실험에서 확인됐다.

 이 연구를 수행한 소크 연구소의 로널드 에번스 교수팀은 21일 저널 '네이처(Nature)'에 관련 논문을 공개했다.

 에번스 교수팀은 앞서 인슐린을 생성하는 유사 베타세포를 줄기세포에서 발생하게 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부족한 인슐린 분비 능력을 대폭 증강하는 ERR-감마라는 유전자 스위치도 찾아냈다.

 ERR-감마 스위치를 단 줄기세포 유래 베타세포는 생쥐 실험에서 혈당이 높아지는 것에 맞춰 충분한 양의 인슐린을 만들었다.

 이번엔 인간의 췌장에 근접하는 3차원 환경에서 유사 베타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그 결과물이 '인간 랑게르한스섬 유사 오르가노이드(HILOs)'이다.

 연구팀은 한 걸음 더 나아가 ERR-감마 '터보차징(turbo-charging)' 스위치를 조작하는 WNT4라는 단백질도 확인했다.

 최대 난제인 인체 면역계 공격을 피하는 문제는, 항암 '면역 관문' 억제제로 쓰이는 PD-L1 단백질로 풀었다.

 PD-L1으로 면역 반응을 억제한 오르가노이드를 '당뇨병 생쥐'에 이식했더니 꾸준히 혈당이 제어됐고 면역계도 정상을 유지했다.

 아직 정식 임상을 하기까진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적지 않다. 하지만 연구팀의 분위기는 밝다.

 에번스 교수는 "다른 어떤 기기를 쓰지 않고도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결과물(랑게르한스섬 오르가노이드)을 손에 들고 있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의료대란이 환자 등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장관은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해 "환자·시민단체들은 반드시 지난 의료대란에 대한 피해 조사와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장관님 견해는 어떤가"라고 묻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조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정 장관은 "환자단체에서의 조사 요구와 의원님이 말씀하신 (보건의료기본법 일부개정안의) 조사는 조금 달라서 피해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고, 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피해 조사와는 다른 측면이 있어 그런 부분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정부가 의료대란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알릴 필요가 있고, 혹시라도 반복될 시 정부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시냐"고 묻는 질문에는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을 넘기며 장기화하자 환자·시민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