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음식' 먹는 당뇨병 환자 심정지 위험도 3배 이상

오메가-3, 여성은 효과 낮아…전남대 의대생, 환자데이터 분석

 습관적인 매우 짠음식 섭취는 심정지 발생 위험을 1.88배 높이고, 짠음식을 먹는 당뇨병 환자의 경우 그 위험도가 3.49배나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 심정지 발생 위험을 낮추는 오메가-3 지방산 섭취 효과는 여성보다 남성이 훨씬 컸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2017~2023년 심정지 환자 1천500여명의 데이터를 전남대 의학과 2학년생인 강지현·문진영씨가 각각 짠음식과 오메가-3 섭취를 기준으로 분석해 심정지 발생 원인과 예후를 살핀 논문에서 밝혀졌다.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 비당뇨군 보다 심정지 위험이 2.07배 높았고, 당뇨병 환자가 매우 짠 식습관을 갖고 있을 경우 심정지 위험이 3.49배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오메가-3와 심정지의 직접적 연관성과 성별 차이에 의한 효과를 분석한 논문도 같은 심정지 환자 데이터를 통해 제시됐다.

 문진영씨는 관련 논문에서 "오메가-3 섭취군의 심정지 발생 위험도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48% 감소했다"며 "오메가-3를 섭취한 남성의 경우 유의미한 수치로 위험도가 낮아졌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문씨는 "남녀의 오메가-3 지방산 체내 대사 과정이 다른데 남성은 콜레스테롤 기능이 낮아 오메가-3로 인한 개선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보인다"며 "성별 차이를 고려한 심정지 예방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강씨와 문씨는 질병관리청 주도로 이뤄진 17개 병원 다기관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전남대병원 응급의학과 정유진 교수의 지도를 받아 연구논문을 완성했다.

 강씨의 논문은 'Yonsei Medical Journal' 12월호에 실릴 예정이며, 문씨의 논문은 'Signa Vitae' 9월호에 실렸다.

 정 교수는 13일 "학부생들이 연구 보조에 그치지 않고, 실제 데이터 해석과 논문 작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국제 학술지에 이름을 올렸다"며 "일반적인 상식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연구해 유의미한 사실을 발견했다는 점에의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전남대의대 강지현(왼쪽)·문진영학생과 강유진(오른쪽) 교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검사 뒤에 숨은 수십 년 관행, 정부가 칼 뺐다
병원에서 흔히 받는 피검사나 소변검사.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첫걸음인 이 검사들의 신뢰도를 위협하는 수십 년 묵은 관행에 정부가 드디어 칼을 빼 들었다. 검사를 의뢰하는 동네 병의원과 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검사센터 사이의 비정상적인 비용 정산 구조를 바로잡아, 최종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의료계는 현실을 무시한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해묵은 관행 개선을 둘러싼 진통이 예상된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논란이 돼온 검체검사 위탁검사관리료(이하 위탁관리료)를 폐지하고, 위탁기관(병의원)과 수탁기관(검사센터)이 검사 비용을 각각 청구하는 '분리 청구'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이는 내년 시행을 목표로, 이르면 다음 달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상정될 예정이다. 문제의 핵심은 병의원과 검사센터 간의 고질적인 비용 정산 관행이다. 현재 건강보험은 혈액검사 등에 드는 비용(검사료)의 110%를 검사를 의뢰한 병의원에 지급한다. 병의원은 이 중 10%의 관리료를 제외한 100%를 검사를 진행한 검사센터에 보내주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검사센터가 병의원과의 계약을 위해 이 검사료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