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엄마와 따뜻한 교감. 기사와 관련없음 [연합 자료사진]</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2/art_17603920523919_4b6ed5.jpg?iqs=0.1984995786302155)
결혼과 출산이 모두 늦어지면서 산모 10명 중 4명은 35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숙아와 선천성이상아 출생에 따른 진료비도 급증해 작년 기준 8천억원에 육박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평균 출산 연령은 2016년 32.4세에서 지난해 33.7세로 높아졌고, 35세 이상 산모 비중도 26.4%에서 35.9%로 커졌다.
이 기간 쌍둥이 이상을 칭하는 다태아가 전체 출생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3.9%에서 5.7%로 늘어났다.
미숙아 진료비는 2018년 1천846억원에서 지난해 2천649억원으로 6년간 44% 늘었다.
이 기간 선천성이상아 진료비는 3천71억원에서 5천236억원으로 70% 증가했다.
미숙아와 선천성이상아 전체 진료비는 4천917억원에서 7천885억원으로 60%, 약 1.6배 규모로 불어났다.
조산아와 저체중아 같은 미숙아가 늘어나는 데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출산 연령 상승에 따라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이 증가하고 다태아 또한 많아지는 게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고령 산모가 늘어나는 만큼 정밀검사·산전 관리·응급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김미애 의원은 "출산 연령이 높아지는 것은 사회 변화의 자연스러운 결과이므로, 연령과 관계없이 모든 산모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출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지역별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확충, 산전·산후 건강관리 지원 강화, 지방 분만 인프라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표] 미숙아(저체중아·조산아) 및 선천성이상아 진료비(요양급여 총액) 현황 (단위:백만원)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미숙아 | 184,667 | 202,226 | 198,288 | 212,221 | 223,500 | 209,390 | 264,908 |
선천성 이상아 |
307,066 | 357,209 | 365,836 | 401,831 | 424,670 | 459,403 | 523,636 |
※ 보건복지부 제출 자료, 김미애 의원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