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지방간이 당뇨병을 일으킬까? 원인은 '글루카곤 저항'

간-췌장 피드백, 글루카곤 민감성 낮추고 혈당치 높여
코펜하겐대 연구진, 저널 '분자 대사'에 논문

 

 좋지 않은 지방이 간에 쌓이는 지방간은 그 자체로 특별한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하지만 지방간을 가진 사람은 당뇨병이 생길 위험이 높다.

 지금까지 잘 알지 못했던, 지방간이 당뇨병을 일으키는 기전을 덴마크 코펜하겐대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원인은 지방간이 글루카곤 호르몬의 민감성을 급격히 낮추는 데 있었다.

 이는 대부분의 2형 당뇨병 환자에게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코펜하겐대 노보노디스크 단백질 연구 센터의 니콜라이 베버르 알브레흐천 부교수 연구팀은 최근 국제 학술지 '분자 대사'(Molecular Metabolism)에 관련 논문을 공개했다.

 5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글루카곤 수치가 올라가는 건 건강 이상 징후 가운데 하나다.

 간의 포도당 생성량을 늘려 혈당치를 밀어 올리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여기에 관여하는 간과 췌장 사이의 피드백 시스템을 확인했다.

정상적인 간과 지방(흰색 원)이 쌓인 간(우)

 연구팀은 지방간과 연관된 당뇨병의 발병 메커니즘을 집약해 '글루카곤 저항'(glucagon resistance)이라는 신개념을 제시했다.

 알브레흐천 교수는 "현재의 인슐린 저항과 똑같이 미래의 의대 학생들에게 반드시 가르쳐야 할 생물학적 신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 개념은 당뇨병 징후의 조기 검진에 도움을 줄 거로 과학자들은 기대한다.

 글루카곤 민감성이 떨어지는 걸 포착하면, 일찌감치 체중 감량 등으로 간의 지방 축적을 줄이고 글루카곤 억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글루카곤-알라인 지수'도 개발했다. 글루카곤 민감성에 이상이 생긴 사람을 조기 검진하는 데 유용한 생물지표다.

 알라닌은 단백질 구성단위인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알파와 베타 두 종류가 있다.

 마리 빈트허르-스렌선 박사과정 연구원은 "혈액 검사로 지방간의 글루카곤 저항을 확인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라면서 "이미 제약업계가 당뇨병 치료 연구에 이 생물지표를 쓰기 시작했 다"라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