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바이러스 연달아 출현' 백신 효과있나…"중증 예방능력 충분"

KAIST 신의철 교수 "델타, 람다 지나가도 백신접종 정책 유지해야"
한국과총·과기한림원·의학한림원, '변이코로나19 감염과 대책' 공동포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더믹 이후 변이 바이러스가 연달아 출현하면서 변이 바이러스가 코로나 백신 접종 효과를 떨어뜨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국내 전문가들은 현재 국내 접종에 사용중인 코로나 백신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하더라도 중증도를 예방하는 능력이 충분하고, 향후 추가 변이가 나오더라도 백신 접종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이른 시일 내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한 면역저하자 등을 대상으로 한 2차 접종 이후 추가 접종(부스터샷)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조언도 내놨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대학 신의철 교수는 2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이 공동 주최한 '변이형 코로나19 감염과 대책' 포럼에서 "변이 출현으로 감염을 막는 백신의 효능은 다소 떨어지고 있지만 중증을 예방하는 백신 능력은 거의 손상되지 않았다는 게 중요한 교훈"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연구센터장이기도 한 신 교수는 그동안 코로나19 연구에서 지나치게 중화항체의 기능만을 따져봤다며 델타, 람다형 변이 바이러스가 지나간 뒤에 나타날 새로운 코로나19 변이에 대응하려면 백신 접종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 후 회복되거나 백신을 맞으면 방어 면역인 중화항체와 기억T세포가 형성되는데, 중화항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지만 기억T세포는 계속 살아남아 중증 진행을 막는 역할을 한다.

 신 교수는 "단기적으로는 현재 백신 프로그램을 유지해 중증도를 약화하는 현실적인 목표를 달성해야하고, 부스터샷을 통해 변이 바이러스를 커버할 능력을 키워야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당장의 문제는 아니지만 일부 미국 제약사들이 준비 중인 특정 변이에 대응하는 백신 개발, 모든 코로나 바이러스를 광범위하게 커버하는 백신의 개발도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이날 포럼의 또 다른 발표자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송준영 교수는 앞으로 부스터샷의 중요성이 강조될 것으로 예측했다.

 송 교수는 "지금까지 연구 결과를 봤을 때 백신을 맞은 일반인의 경우 최종 접종 후 6개월∼12개월 시기에 부스터샷을 맞는 게 효과적"이라며 "면역저하자, 얀센 백신과 같이 1회 백신 접종을 마 친 사람들은 6개월 이내 부스터샷 조기 접종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