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질병통제예방센터 "안전한 코로나 방어수단은 결국 백신"…110만명 분석 결과

백신·완치, 보호력 막상막하…첫 감염 위험해 백신이 낫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막을 가장 안전한 수단은 백신 접종이라는 점이 미국의 대규모 사례 조사에서 재확인됐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작년 5월부터 11월까지 캘리포니아주, 뉴욕주에서 110만 명을 조사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

 CDC는 조사 대상자들을 감염된 적이 있는 백신 접종자, 감염된 적이 없는 백신 접종자, 감염된 적이 있는 백신 미접종자, 감염된 적이 없는 백신 미접종자 등 4개 집단으로 나눠 감염률과 입원율을 비교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감염 전력이 없는 백신 미접종자 집단에서 감염률과 입원율이 가장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초기에는 감염된 적이 있는 미접종자 집단이 감염된 적이 없는 접종자 집단보다 감염률이 높았다.

 그러나 나중에 상황이 바뀌어 델타 변이가 우세종이 된 다음에는 감염된 적이 있는 집단의 감염률이 감염된 적이 없는 접종자 집단보다 낮아졌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지배종이 작년 봄 알파 변이에서 여름과 가을 델타 변이로 바뀌는 시기에 이뤄졌다.

 당시는 현재 미국의 지배종인 오미크론 변이가 등장하지 않은 상태였다.

 CDC 감염병 태스크포스에서 감시·분석을 이끄는 벤저민 실크 박사는 "델타 변이 전에는 백신접종이 감염 후 완치보다 보호력이 강했지만 델타 변이가 지배종이 된 뒤로는 감염이 백신접종보다 보호력이 강했다"고 설명했다.

 연구가 이뤄진 시기는 초기 백신 접종으로 많은 사람에게 유도된 면역력이 떨어지는 시점과 맞물리기도 한다.

 백신은 접종 후 점차 면역력이 떨어지는 까닭에 면역력을 떠받치려고 부스터샷(추가접종) 프로그램이 시행된다.

 CDC의 이번 분석에는 접종 후 시간 경과, 부스터샷, 새 변이인 오미크론의 출현은 반영되지 않았다.

 전체 조사기간에 걸쳐 확실히 드러난 점은 감염 후 증세가 악화해 병원에 입원하는 비율은 감염 전력이 없는 미접종자 집단이 다른 집단들보다 현격히 높았다는 점이다.

 엘리 로젠버그 뉴욕주 과학 부국장은 "조사 결과를 전체적으로 볼 때 백신 접종과 감염 후 완치가 모두 재감염, 입원을 막는 보호 효과를 낸다"고 설명했다.

 그는 "첫 감염이 상당히 위험한 까닭에 백신을 접종하고 부스터샷으로 면역력을 때에 맞게 유지하는 방안이 감염과 위중증을 예방할 가장 안전한 선택지"라고 결론을 내렸다.

 밴더빌트대의 윌리엄 섀프너 박사는 감염 후 완치자도 백신 접종을 통해 면역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섀프너 박사는 "완치자가 접종하면 항체 수위가 훨씬 높아진다"며 "항체 수위가 높아지면 첫째, 보호받는 기간이 길어지고 둘째, 항체가 다양해져 다양한 변이를 더 잘 막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에 비상진료체계 2년째…올해 지속시 건보적자 1.7조↑
의정 갈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정부가 2년째 가동하고 있는 비상진료체계가 올해도 계속될 경우 건강보험 누적 적자액이 대폭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실에 제출한 '건강보험 재정 전망'에 따르면, 정부가 작년 2월부터 가동 중인 비상진료체계를 올해 말까지 유지할 경우 건강보험 누적 적자액이 1조7천억원 늘어난다. 이는 비상진료체계를 작년 말에 종료했다고 가정한 추계값과 비교한 결과다. 비상진료체계는 보건의료 위기 시 중증·응급환자 진료 등을 독려하기 위해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을 이용해 의료기관을 지원하는 제도다. 보건복지부는 작년 2월 의료개혁 4대 과제와 의대 정원 2천명 증원 계획 발표 후 전공의가 집단 사직하는 등 의정 갈등이 본격화하자,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 최상위 단계인 '심각'을 발령했다. 이와 함께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해 일부 진료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를 한시적으로 인상하고, 수련병원에 건보 급여를 선지급하는 등 매달 2천억원 안팎의 건보 재정을 투입했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위기경보 심각 단계 해지 시까지 가동할 계획이다. 정부가 작년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비상진료 건강보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담도암 조기 진단 가능성 높였다…대규모 유전체 확보
국내 연구진이 담도암 발병 과정을 알 수 있는 대규모 유전체를 확보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의대 박영년·김상우 교수 연구팀이 담도암의 전암 병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병변)으로부터 침윤성 담도암(1기 이상의 암)에 이르기까지 대규모의 유전체(생명체의 모든 유전정보)와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 변화과정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담도와 쓸개에서 발생하는 담도암은 5년 내 환자 10명 중 7명이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이지만,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발견하기 어렵다. 암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에 대한 연구도 드물어 조기 진단과 항암 표적 치료도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팀은 담도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병변으로 알려진 담도계 유두상 종양에 주목, 이 부위로부터 암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유전자 발현 이상이 암 발생에 관여함을 밝혀냈다. 유두상 종양과 담도암으로 진단된 환자 166명의 조직을 대상으로 전암 병변 부위와 주변으로 침윤해 들어가는 암종 부위를 분리, 대규모 '전장 엑솜 염기서열분석'(인간의 전체 유전체 중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는 엑손 부위 분석)을 진행했다. 이 중 담도계 유두상 종양이 담도암으로 발전된 41명 환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