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페그세타코플란', 노인성 황반변성 발생 억제"

 신약 페그세타코플란(pegcetacoplan)이 노인 실명의 가장 큰 원인인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에 있는 시신경 조직인 황반에 비정상적인 신생 혈관이 자라면서 황반이 손상돼 시야의 중심부를 보는 시력인 중심시(central vision)를 잃는 질환이다.

 페그세타코플란(제품명: 엠파벨리)은 아펠리스(Apellis) 제약회사가 개발한 신약으로 황반변성을 포함한 보체 매개성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도헤니 안과 연구소(Doheny Eye Institute)의 무네스와 굽타 니탈라 교수 연구팀은 페그세타코플란이 유전적 소인(genetic predisposition)에 의한 황반변성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황반변성의 유전적 소인이 있는 167명을 3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매달 한 번, 또 한 그룹엔 두 달에 한 번 페그세타코플란을 안구 내 주사로 투여했다. 나머지 그룹은 비교를 위한 대조군으로 삼았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황반변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망막색소상피(retinal pigment epithelium)와 외망막층(outer retina)의 위축(atrophy)이 나타나는지를 1년에 걸쳐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1개월 단위로 페그세타코플란이 투여된 그룹이 망막색소상피와 외망막층의 위축 진행 속도가 가장 느리고 두 달 간격으로 투여된 그룹이 그다음으로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페그세타코플란이 투여되지 않은 대조군은 예상된 속도로 위축이 진행됐다.

 이 결과는 페그세타코플란이 황반변성의 발생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안과학'(JAMA Ophthalm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국 혈액원·적십자병원 노조 오는 24일 18년만에 파업 예고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대한적십자사 본부지부가 18년 만에 파업 투쟁을 예고했다. 적십자 노조는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임금협상 결렬 후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85%가 파업에 찬성했다며, 24일 보건의료노조 산별 총파업에 맞춰 26개 사업장에서 동시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적십자사는 전국에 15개 혈액원과 7개 적십자병원 등을 운영 중으로, 노조가 파업에 참여하면 2007년 산별 총파업 동참 이후 18년 만이 된다. 5월부터 사측과 임금·단체협약 협상을 진행해온 적십자 노조는 ▲ 총액 인건비제도 폐지 ▲ 혈액사업장 노동조건 개선 ▲ 적십자병원 경영 정상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혈액사업장 노동자들은 환자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혈액 공급을 한시도 멈출 수 없어 하루 10시간 이상, 밤 11시를 넘겨야 마치는 장시간 노동을 감내해야 한다"며 "헌혈의 집 또한 연간 350일 이상, 평일 20시까지 의무 운영되면서 직원들의 저녁과 주말이 모두 사라졌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올해 사측은 임금 인상이 불가능하다는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낡은 공공기관 총액 인건비제도 탓에 공무원 임금 인상률조차 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술 때문에 생기는 간 손상 원리, 분자 수준서 처음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음주로 인해 간염이 유발되는 원리를 최초로 분자 수준에서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정원일 교수와 서울대 보라매병원 김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술을 마셔서 생기는 간 손상과 알코올성 지방간염(ASH)의 발생 구조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과도한 음주 시 간의 말초정맥 주변 간세포에서 '소포성 글루탐산(아미노산의 일종) 수송체'의 발현이 증가하면서 글루탐산이 간세포 내 소포에 축적됨을 확인했다. 글루탐산은 신체 조직에서 세포 간 신호전달, 단백질 합성, 에너지 대사 등에 관여한다. 지나치게 많으면 신경세포가 과흥분돼 세포의 손상과 사멸을 일으킬 수 있는데, 연구팀은 폭음으로 알코올 유입이 계속되면 간세포 내 칼슘 농도 변화에 따라 글루탐산이 급격히 분비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때 분비된 글루탐산은 간에 있는 대식세포(면역세포)인 '쿠퍼세포'의 글루탐산 수용체를 자극해 활성산소 생성을 유도하고, 이는 곧 간세포 사멸과 염증 반응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기존 연구를 통해 장에서 유래한 독소가 쿠퍼세포를 자극해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나, 간세포가 직접적으로 쿠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