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 전 말기환자' 응급실 찾아도 31.5%만 증상완화 치료"

서울대병원, 응급실 사망 말기환자 222명 분석…"연명치료 여부 미리 밝혀둬야"

 말기 암 등으로 투병하던 환자들이 임종 전 응급실을 찾더라도 이 중 증상 완화 치료를 받는 비율은 10명 중 3명 정도에 그친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대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유신혜 교수와 세종충남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정선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18∼2020년 만성 중증질환에 의한 통증 등으로 서울대병원 응급실을 찾았다가 사망한 성인 222명을 대상으로 임종 전 치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응급실 내원 후 24시간 이내에 마약성 진통제 등의 증상 조절을 위한 처치를 받은 환자는 전체의 31.5%로 집계됐다.

[서울대병원 제공]

 나머지 말기환자는 응급실에서 이런 처치를 받지 못한 채 심폐소생술(27.5%)이나 인공호흡기 치료(36.0%)에 의지하다 임종을 맞이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환자의 92.3%는 임종이 임박했는데도 혈액검사를 받았으며, 혈압을 높이는 약물이 투여된 말기 환자도 62.6%에 달했다.

 연구팀은 임종을 앞둔 환자에 대한 사전 돌봄 계획이 미흡해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유신혜 교수는 "응급실은 응급 환자가 죽음의 위기를 넘기고 소생하도록 하는 장소"라며 "임종이 임박한 만성 중증질환자의 경우 적극적인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연계해 응급실보다 질이 좋은 장소에서 임종하도록 해야 하지만, 아직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적절한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위해서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통해 사망 전 본인의 연명치료 여부에 대한 의사를 미리 밝혀야 한다고 당부했다.

 유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27%의 환자만이 연명치료에 대해 본인 의사를 미리 밝힌 상태였다"면서 "법정 서식을 작성한 환자들이 미작성 환자보다 임종 전 증상 조절 치료를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는 만큼 의향서를 미리 작성해 두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BMC 완화의료'(BMC Palliative Care) 최근호에 게재됐다.

[서울대병원 제공]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