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7일 조간)

▲ 경향신문 = 트럼프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 요구, 말 안 되는 억지 논리

행정전산망 정보 유출 한 달 은폐, 정부 기강해이 도 넘었다

윤 대통령 회견, 국민 신뢰 회복할 마지막 기회다

▲ 서울신문 = 연금개혁 합의를 왜 밖에 나가 하겠다는 건가

모처럼의 경제 훈풍, 물가 안정으로 이어져야

"중립 없다"는 野 의장 후보들 향한 김 의장 쓴소리

▲ 세계일보 = 툭하면 전산망 오류… 세계 최고 '디지털 정부'는 허상인가

우려 낳는 민주당의 일극화 조짐, 다양성 실종, 완력 과시

특검법 대치로 방폐물법·AI법·K칩스법 사장돼선 안 된다

▲ 아시아투데이 = "국회의장, 정치중립 지키라"는 게 민심

명품 가방 사건, 신속 수사로 의혹 해소해야

▲ 조선일보 = 尹 "기초연금 40만원", 정권마다 10만원 인상 현실화되나

최악의 21대 국회, 임기 종료 앞두고 무더기 해외 출장

정상적 대통령 회견 기대한다

▲ 중앙일보 = 한눈팔면 뒤처지는데 … 폐기 위기 몰린 'AI 기본법'

소통 위해 만든다는 민정수석, 소통 걸림돌 되지 말기를

▲ 한겨레 = 대통령 기자회견, 국정기조 변화없는 자화자찬 안돼

'정부24' 개인정보 대거 유출, '전자정부'가 위험하다

'김건희 명품백' 수사 나선 검찰, '보여주기용' 아니어야

▲ 한국일보 = 서울시 탄소 50% 감축 목표, 태양광 적대시해선 어렵다

외신도 우려한 부동산발 금융 부실, 선제대응이 답이다

600일 만의 대통령 기자회견… 전향적 변화 보이길

▲ 글로벌이코노믹 = 수출시장 다변화, 지금이 적기다

'지표 따로, 체감 따로' 물가 잡으려면

▲ 대한경제 = 항만 기준 삼은 가덕도신공항 부지공사 설계비 타당한가

尹 대통령 회견, '특검' 물타기 아닌 소통과 공감 담아내야

▲ 디지털타임스 = 불법 공매도로 개미 울린 외국계 IB, 강력 처벌로 경종 울려야

尹대통령 회견, 불통 이미지 벗고 국정동력 되찾는 계기돼야

▲ 매일경제 = 서학개미까지 손뻗치는 리딩방, 당국 방치해선 안돼

연금개혁·AI법·방폐장법…21대 국회 때 꼭 처리를

野 강행 양곡법, 쌀 초과생산 부추기고 재정 축낸다

▲ 브릿지경제 = AI기본법도 통과 못 시키면서 'AI G3' 만들겠나

▲ 서울경제 = 연금 개혁안 얼마나 '맹탕'이면 스웨덴식 대안까지 꺼내겠는가

명품백·채 상병 의혹 엄정 수사하고, 尹대통령도 입장 밝혀야

특검 대치에 민생·경제 법안 표류…국회 책무 끝까지 외면하나

▲ 이데일리 = 납세자 수 사상 최대 종소세… 과세 기준 현실에 맞나

정부 전산 오류 한 달 쉬쉬, 이러니 사고 또 터질 수밖에

▲ 이투데이 = 전력망 확충 없이 첨단산업 미래 있겠나

▲ 전자신문 = 망 이용대가법 등 처리 서둘러야

▲ 파이낸셜뉴스 = 불법 공매도 근절대책 이번엔 확실하게

'소통의 대통령' 되어 국정동력 확보 계기로

▲ 한국경제 = 개악안 던져놓고 외유성 유럽 출장 간다는 국회 연금특위

尹대통령 기자회견, 진솔한 답변과 국정비전 제시 있어야

"이대로 가면 대한민국 괜찮겠나" 상의회장의 돌직구 질문

▲ 경북신문 = 홍, 의협회장에 대해 시정잡배 저격 왜?

▲ 경북일보 = 의대 증원 발표…여야정이 의료계 설득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