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약 스타틴, 근육통 원인 아니다"

 스타틴(statin) 계열의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치료제의 흔한 부작용으로 지목되는 근육통은 대부분 스타틴이 원인이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 인구 보건·의학 연구위원회(Population Health and the Medical Research Council)의 콜린 베이전트 역학 교수 연구팀은 총 15만5천여 명이 대상이 된 23건의 스타틴 관련 임상시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19건은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이 설정된 임상시험이었고 4건은 저용량과 고용량 스타틴의 부작용을 비교한 것이었다.

 전체적으로 근육통 발생률은 스타틴 복용 그룹이 27.1%, 위약(placebo)이 주어진 대조군이 26.6%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다만 스타틴 그룹은 스타틴 복용을 시작한 첫해에만 근육통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대조군보다 7% 높았다.

 그렇다 해도 스타틴 복용 첫해의 근육통 발생률은 표준 용량 복용 그룹이 15명에 한 명, 고용량 복용 그룹이 10명에 한 명꼴에 지나지 않았다.

 복용 첫해 이후에는 그나마 스타틴 그룹의 상대적 근육통 발생률이 대조군보다 별로 높지 않았다.

 근육통은 나이를 먹으면서 흔히 겪게 되는 것으로 관절염, 갑상선 기능 장애, 운동 등 원인이 다양하다.

 스타틴 복용을 시작한 때와 동시에 근육통이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복용자들은 스타틴을 의심할 수도 있지만 이 연구 결과는 90% 이상이 스타틴이 원인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스타틴의 근육통 부작용이 지나치게 높게 나타난 연구 결과들은 대부분 무작위 대조군 설정 임상시험에서 나온 것이 아니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러한 과장된 연구 결과 때문에 사람들이 스타틴을 외면하고 스타틴 복용자들이 복용을 중단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미국 심장학회 심혈관 질환 예방위원회 위원장인 유진 양 박사는 스타틴 복용과 관련한 근육통 위험이 매우 낮다는 사실을 확신시켜 주는 것이라고 논평했다.

 듀크 대학 의대 심장 전문의 마네시 파델 박사는 근육통이 스타틴 복용에서 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복용자들에게 상당한 위안이 될 것이며 의사들에게는 스타틴 복용을 꺼리는 사람들을 안심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유럽 심장학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되는 한편 영국의 의학 전문지 '랜싯'(Lancet) 최신호에 게재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항암제 병용요법 보험적용에 암환자 숨통…희귀질환자 접근성은
다음 달부터 암 환자들이 기존 건강보험 적용 항암제와 비급여 항암 신약을 함께 사용하더라도 기존 약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약제) 일부 개정 고시안'을 지난 18일 행정 예고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번 개정안을 '급여기준 개선의 첫걸음'이라고 논평했으며, 글로벌 제약사 모임인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도 환영 의사를 표했다. 다만 이들 환자단체와 제약업계 모두 이번 개정안을 환영하면서도 국내 환자들의 낮은 치료 접근성을 언급하며 약가 제도 및 건강보험 급여체계 개편 논의가 환자 중심으로 진전되기를 바란다고 평가한 점은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두 제도 모두 정부의 재정 안정성이 환자 치료 기회 보장보다 우선시되고 있다는 지적을 오랫동안 받아왔다. 대부분 고가인 혁신 신약 및 병용 위주로 변화하는 항암 치료법이 해외에서는 이미 도입됐지만 국내 환자들은 비교적 뒤늦게 급여 혜택을 받게 됐다. 지난 달 17일 국회에서 열린 '병용요법의 암 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명예교수는 "제약업계의 항암 치료 파이프라인(개발 중인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