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은 증상 나타나기 전부터 살찐다...비만이 당뇨병 유발?

'닭이냐 달걀이냐'와 유사…문제는 '인슐린 활성화' 이상
스위스 바젤대 연구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논문

 비만은 체내 당(糖) 대사의 균형을 무너뜨려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의 발생엔 생활 방식, 즉 영양 결핍이나 부족한 신체 활동 등도 영향을 준다.

 그렇다면 당뇨병은 거꾸로 체중 증가에 어떻게 연관돼 있을까?

 스위스 바젤대 과학자들이 이 역(逆)의 상관관계도 성립된다는 걸 입증했다.

 간단히 말해 인슐린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으면 체중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런 인슐린 생성 이상은 2형 당뇨병 초기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증상이다.

 이 발견은 당뇨병과 비만 치료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통찰이 될 거로 보인다.

 바젤대의 마르크 도나트 생물의학과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논문으로 실렸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최근 올라온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바젤대 연구팀이 중점적으로 본 건 '호르몬 전구물질 전환효소'(Prohormone convertase)인 'PC1/3'이다.

 이 단백질은 불활성 호르몬 전구물질을 활성 형태로 바꾸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이 단백질이 제 기능을 하지 않으면 참을 수 없는 공복감이나 심한 과체중 같은 내분비 장애가 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자들은 만족감을 주는 호르몬이 뇌에서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는 데 원인이 있다고 짐작했다.

 그런데 실험 결과는 이런 추론과 부합하지 않았다.

 생쥐의 뇌에서 PC1/3의 발현을 차단해도 몸무게가 별로 늘지 않은 것이다.

 포만감을 주는 뇌의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게 아니라 아닌 다른 요인이 작용한다는 걸 의미한다.

 그래서 연구팀은 PC1/3에 의해 활성화되는 호르몬 중 하나인 인슐린으로 눈을 돌렸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인슐린은 혈당 조절과 지방 대사에 핵심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인슐린 생성 과정에서 과체중 요인을 찾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번엔 생쥐의 췌장에서 인슐린을 생성하는 베타 세포의 PC1/3 발현을 막았다.

 그러자 생쥐가 먹이를 폭식하기 시작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과체중과 당뇨병 증상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매우 흥미로웠다.

 그냥 두면 당뇨병으로 진행하는 당뇨병 전증(prediabetes) 환자도 췌장의 PC1/3 발현 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결국 인슐린이 제대로 활성화하지 않는 게 문제의 시작이자 끝이었다.

 비만으로 인해 인슐린 활성화에 이상이 생기기도 하지만, 반대로 인슐린 활성화 체계가 고장나 비만이 오기도 한다는 얘기다.

 잊지 말아야 할 부분은, PC1/3가 건강한 사람의 체중 조절에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PC1/3 생성 코드를 가진 유전자가 췌장에서 활성화하면 대체로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 쪽으로 작용한다는 걸 연구팀은 확인했다.

 PC1/3가 충분히 발현해야 건강에 이로운 체중 관리가 가능하다는 걸 시사한다.

 이번 연구 결과의 요체는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 베타 세포의 고장이 비만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발견은 비만과 당뇨병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잠재력이 충분하다.

 예컨대 성숙하지 못한 인슐린 전구물질의 생성을 약으로 억제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스크 "수술 로봇, 5년내 최고 외과의사 능가할 것"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수술용 로봇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몇 년 안에 인간 의사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28일(현지시간) 머스크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따르면 그는 전날 올린 글에서 "로봇이 몇 년 내에 우수한 인간 외과 의사들을 뛰어넘고, 5년 이내에 최고의 인간 외과의를 능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자신이 설립해 운영 중인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를 언급하며 "뉴럴링크는 두뇌-컴퓨터 전극 삽입에 로봇을 이용해야 했다. 인간이 (이 수술에) 요구되는 속도와 정밀함을 달성하기는 불가능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한 수술용 로봇 제품이 100여차례의 실제 수술 시험에서 의사들이 예상한 것보다 더 나은 성과를 냈다는 엑스 이용자의 게시물을 공유하며 이런 글을 올렸다. 머스크의 이런 예측에 미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마이크 리(유타)는 "인간에게 승리가 될 것 같다"며 환영했다. 뉴럴링크 홈페이지에는 수술용 로봇에 관해 "우리의 이식에 쓰이는 실은 아주 가늘어서 인간의 손으로 삽입될 수 없다. 우리의 수술용 로봇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이 실을 필요한 곳에 정확히 삽입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돼 있다. 전날 머스크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