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제제 '육군자탕' 인지 개선 효과 확인…치매치료제 개발 기대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기술응용센터 고영훈 박사 연구팀이 육군자탕의 인지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인삼·복령·백출·대조·반하·진피·생강·감초 등으로 구성된 육군자탕은 기능성 소화불량 등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처방이다.

 연구팀은 세포·동물실험을 거쳐 육군자탕이 신경 세포의 성장·생존을 돕는 뇌 유래 신경영양인자(BDNF)의 분비 신호를 증가시켜 신경 세포를 보호하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신경독성을 유도한 쥐의 해마 세포에서 육군자탕의 세포 보호,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 방지, 산화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인지 저하 동물모델에서는 인지 행동 개선과 해마 조직 내 신경세포 보호 등 효과도 증명됐다.

 이미 안정성이 입증된 한방제제인 육군자탕을 이용하면 임상시험 비용을 대폭 줄이고, 한의에 기반한 치매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고영훈 박사는 "기존 한방제제인 육군자탕 등 한약의 인지 개선 효능을 발굴해 치매 예방·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