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 버티지 못해 쉽게 쓰러지는 서랍장…"아이 다치면 어쩌나"

높이 762mm 미만 제품, 하중에 대한 안전 기준 없어
쓰러져도 정상 제품이라 환불 불가

 하중을 버티지 못하고 쉽게 쓰러지는 서랍장이 높이가 낮다는 이유로 안전 기준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28일 경기도 고양시에 사는 A씨는 어머니에게 유명 가구업체가 파는 서랍장을 선물했다.

 원목에 비해 가볍고 내구성이 낮은 MDF 소재로 만들어진 서랍장은 높이 약 52cm, 무게 약 15kg인 제품이다.

 당일 오후 A씨는 어머니의 비명과 함께 서랍장이 쓰러지는 소리를 들었다.

 황급히 달려가 보니 놀란 어머니는 쓰러지는 서랍장을 피한 상태였다.

 A씨는 "옷을 채우고 문을 다 열면 서랍장이 쓰러졌고 빈 서랍이더라도 손가락 하나로 누르면 서랍장이 넘어갔다"며 "하지만 제품 구매 당시 이러한 내용을 알리는 경고문도 없었고 고정 장치는 기본 제공이 아닌 선택 사항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만약 성인이 아니라 영유아가 서랍장을 만지다가 서랍장이 넘어졌다면 아이가 다칠 수도 있어 위험할 것 같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와 같은 제품이 안전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이케아 서랍장이 넘어지며 영유아가 사망하는 사고가 잇따르자 한국은 2017년 가구 안전기준을 개정했다.

 2020년 국가기술표준원이 발표한 안전기준 개정안을 보면 높이 76.2cm 이상의 가정용 서랍장은 어린이가 매달릴 가능성을 고려해 25kg의 하중에서도 넘어지지 않아야 한다.

 벽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가 부착되어 있거나 고정 장치를 제공해야 한다는 안전 요구 사항도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76.2cm 미만 제품에는 안전 기준이 없다.

 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는 "762mm 미만의 가구는 '가구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할 것'이라는 취급상 주의사항을 기재하게 되어 있지만 전도(넘어짐) 방지에 관한 기준은 없다"고 전했다.

 따라서 A씨는 제대로 환불을 받지도 못했다. 고객 변심으로 정상 제품을 반품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가구업체 측은 제품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가구업체 관계자는 "일정 높이 이상 제품에만 전도에 관한 내용이 표기되어 있다"며 "전도 사고가 한 번이라도 있었다면 위험성을 설명했겠지만 해당 서랍장을 판매하며 전도 관련 민원이나 영유아 사고가 보고된 적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보 사진을 보면 서랍에 물건을 많이 넣고 두 칸을 한 번에 열었다"며 "그렇게 열면 플라스틱 서랍장도 앞으로 쓰러질 것"이라 말했다.

 A씨는 "소비자가 위험한 가구를 조심히 다루는 것이지 제품이 안전하다는 뜻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소비자가 알아서 조심해야 하는 거라면 이케아 사건도 알아서 조심해야 했던 일인지 되묻고 싶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