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병원 개 초진 진찰료 평균 1만840원…시도별 최대 1.9배 차이

  동물병원의 전국 평균 개 초진 진찰료가 1만원을 소폭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약 2배 격차를 보였다.

 평균 초진 진찰료가 가장 높은 지역은 충남(1만3천772원)으로, 전국에서 진찰료가 가장 낮은 세종(7천280원)과는 1.9배 격차를 보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4일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 공개시스템을 통해 이런 내용을 공개했다.

 조사·공개 대상 진료비 항목은 진찰·상담료, 입원비, 백신접종비(5종), 엑스선 검사 등 총 11개로 진료비 현황이 전국 단위와 시도 단위, 시군구 단위별로 최저, 최고, 평균 비용 등으로 나눠 공개돼 있다.

 진료 항목별로 보면 전국의 개 초진 진찰료 평균 비용은 1만840원이며 중형견의 하루 입원비는 6만541원이었다.

 또 개 종합백신은 2만5천992원, 엑스선 검사비는 3만7천266원 등이었다.

 시도 단위별로 평균 진료비용은 개 초진 진찰료의 경우 충남이 1만3천772원으로 가장 높았고 세종은 7천280원으로 가장 낮아 1.9배 격차를 보였다.

 중형견의 하루 입원비는 울산이 6만7천608원으로 세종(4만5천200)의 1.5배 수준이었다.

 개 종합백신은 최대 1.4배(충남 2만1천480∼대구 2만9천583원), 엑스선 검사비는 최대 1.6배(세종 2만8천∼전남 4만5천500원) 차이를 보였다.

 진료비 편차의 주된 이유는 임대료, 동물병원 규모, 사용 약품 차이 등으로 분석됐다.

 진료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진료비 현황 공개 홈페이지와 농식품부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임신기 비타민D 섭취, 미세먼지로 인한 태아 신장손상 완화"
임신기에 비타민D를 섭취하면 미세먼지로 손상된 모체와 태아의 신장을 일부 회복시킬 수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임형은 교수 연구팀은 흰쥐를 이용한 동물 모델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임신한 흰쥐 9마리를 생리식염수 투여군과 미세먼지(PM 2.5) 단독 투여군, 미세먼지와 비타민D 병용 투여군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후 새끼 쥐의 신장 형성기인 임신 11일째부터 출산 후 21일까지 각 물질을 그룹별로 경구 투여해 산모와 새끼 쥐의 신장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생리식염수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임신기 미세먼지에 노출된 어미와 새끼 쥐는 모두 사구체 손상과 세뇨관 간질 손상 등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타민D 병용 투여군에서는 미세먼지 단독 투여군과 달리 혈류 조절, 염증 조절 기능 등이 회복돼 신장 손상이 덜한 모습이 관찰됐다. 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산모의 비타민D 섭취가 미세먼지로 인한 산모와 자손의 신장 손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모체·태아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영양 중재(영양문제 해결) 연구와 신약 개발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