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곱감기' 아데노바이러스 유행…"6세 이하 위생관리 철저히"

32주차 입원환자 코로나19 유행 이전보다 2배 넘게 늘어…영유아 환자 89%

 유행성각결막염을 동반해 '눈곱감기'로도 불리는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유행이 심상치 않다.

 보건당국은 이 감염증이 특히 6세 이하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한다며 위생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2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에서 자주 발생하는 급성호흡기감염증 9종에 대한 표본감시 결과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외래와 입원환자에서 모두 증가하고 있다.

 1차 의료기관 77개소를 표본감시한 결과 호흡기 외래환자 중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29주차(7월 16∼22일) 13.7%, 30주차 21.2%, 31주차 24.1%, 32주차 28.5%로 계속 증가했다.

 특히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220개소를 표본감시한 결과 올해 32주차에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입원한 환자는 636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8년(253명)의 약 2.5배, 2019년(292명)의 2.2배로 대폭 늘었다.

올해 32주차(8월 6∼12일) 연령대별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발생현황

 아데노바이러스는 호흡기 비말, 환자 접촉, 감염된 영유아의 기저귀를 교체하는 과정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에서 감염된 아이가 쓴 수건이나 장난감을 사용하거나, 수영장 등 물놀이 시설에서도 감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력이 강하다.

 아데노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이나 기침, 콧물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눈곱이 끼거나 눈이 출혈되는 유행성각결막염과 구토, 설사 등 위장관 감염 증상도 함께 나타난다.

 심한 경우엔 출혈성 방광염과 폐렴 등의 증상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가정에서 영유아에게 올바른 손씻기 방법과 씻지 않는 손으로 눈 비비지 않 기, 기침예절을 교육해야 하며,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엔 마스크를 착용하고 보육시설에 등원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또 "영유아가 생활하는 보육시설과 유치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소독과 함께 충분한 환기를 통해 위생관리에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