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 치료 전극 도자 절제술, 치매 위험↓"

 부정맥의 하나인 심방세동(AF)을 전극 도자 절제술로 치료하면 치매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방세동은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이 이따금 매우 빠른 속도로 수축하면서 심박수가 급상승하는 현상이다. 당장 생명에 위협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일이 잦을수록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 증상은 가슴 두근거림(심계항진), 호흡곤란, 무력감의 형태로 나타나며 심하면 실신하기도 한다.

 심방세동이 약물로 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을 때 사용되는 전극 도자 절제술은 전기 생리 검사를 통해 원인 부위를 찾은 다음 그 부위에 전극 도자를 밀어 넣어 고주파로 원인을 제거하는 시술이다.

 영국 리버풀대학 심혈관과학센터의 스테파니 해리슨 교수 연구팀이 심방세동 환자 2만746명(평균 연령 68세, 남성 59%)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시술받은 그룹과 받지 않은 그룹은 연령, 성별, 종족, 동반 질환, 심혈관 질환 약물 복용 등의 비율이 비슷했다.

 연구팀은 두 그룹 사이의 치매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시술 그룹은 치매 발생 위험이 비시술 그룹보다 4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도 시술 그룹이 비시술 그룹보다 42% 낮았다.

 65∼79세 연령층, 80세 이상 연령층, 남성·여성, 관찰 기간 중 경구용 항응고제 투여, 발작성 또는 비발작성 심방세동, 고혈압, 당뇨병, 만성 신장질환, 심부전 등 다양한 소그룹으로 분류해 평가했어도 모든 소그룹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는 심방세동 환자 중심의 치료 전략을 세울 때는 전극 도자 절제술이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노인병 학회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엠폭스 국제 보건비상사태 선포에 질병청 "검역·감시 강화"
세계보건기구(WHO)가 엠폭스에 대해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을 다시 선포하자 우리 방역당국도 검역과 발생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6일 의료계와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엠폭스 위험평가 회의를 열고 엠폭스 국내 유입 가능성과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WHO는 최근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엠폭스가 다시 급증하고,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상황을 고려해 지난 14일(현지시간) 엠폭스에 대해 PHEIC을 선언했다. 지난해 5월 PHEIC을 해제한 지 1년 3개월 만이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 전문가들은 국내 엠폭스 상황이 현재 방역체계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지난 5월 해제한 엠폭스 위기경보의 재발령 없이 검역과 국내 감시를 강화해 대응하기로 했다. 주요 국가 직항편 게이트에서 검역을 실시하고 역학조사관과 공중보건의를 현장 배치한다. 또 홍보를 늘려 유증상자의 신고를 유도하고 이들이 신속하게 진단받도록 할 방침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9일까지 국내에선 총 10명의 엠폭스 확진자가 나왔다. 지난해 151명과 비교하면 크게 줄었다. 올해 환자들은 모두 20∼40대 남성으로 국내 감염이 9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