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 내 혈관 재개통 시술후 혈압 너무 낮으면 오히려 안좋아"

세브란스병원 연구…"인체가 적응할 수 있도록 권고선에서 혈압 유지해야"

 고혈압 등으로 인한 뇌경색 때문에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치료를 받은 환자가 혈압을 무리하게 낮출 경우 오히려 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남효석 교수 연구팀은 2020년부터 2년 6개월간 전국 19개 병원에서 급성 뇌경색으로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치료를 받은 환자 302명을 관찰한 결과를 8일 발표했다.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치료는 고혈압·당뇨·심장 부정맥 등으로 뇌에 혈전(피떡)이 생겨 손상이 생기는 급성 뇌경색 환자의 동맥에 관을 삽입해 혈전을 제거하는 시술이다.

 이 치료 후에는 뇌출혈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회복하기 위해 혈압 조절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수축기 혈압을 180mmHg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연구팀은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치료 환자 302명을 지침을 따른 군(목표 수축기 혈압 140∼180mmHg, 147명)과 약물을 투여해 권고 지침보다 혈압을 크게 낮춘 군(목표 수축기 혈압 140mmHg 미만, 155명)으로 나눠 경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혈압을 140∼180mmHg으로 조절한 군에서 경과가 좋은 경우는 54.4%로 절반을 넘었으나, 이보다 크게 낮춰 140mmHg 미만으로 조절한 군에서는 39.4%에 그쳤다. 뇌출혈이나 뇌부종 등 예후가 나쁜 경우는 140mmHg 미만 조절군이 1.84배 높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남 교수는 이에 대해 "뇌출혈을 막기 위해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치료를 시행한 급성 뇌경색 환자의 혈압을 무리하게 낮추는 사례가 종종 있는데 예후에는 오히려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시술 후 인체가 적응할 수 있도록 권고 지침대로 혈압을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의학협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AMA, IF 120.7)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연천·가평·양평·안성·포천·여주 등 분만취약지역 임산부에 교통비 100만원 지원
경기도가 내년부터 분만취약지역 임산부를 대상으로 교통비를 1인당 100만원 지원한다. 경기도는 민선 8기 '러브아이 프로젝트'의 일부로 이런 내용의 포함된 도민 체감형 임신·출산 지원 정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교통비 지원 대상은 임산·출산 의료 기반 시설이 열악한 연천, 가평, 양평, 안성, 포천, 여주 등 분만취약지역 6개 시군에 거주하는 임산부이다. 아울러 이들 시군과 협의해 현재 출생아 1명당 50만원의 산후조리비 지원금을 첫째 100만원, 둘째 200만원으로 상향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교통비 신규 지원과 산후조리비 상향 조정은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제도 신설·변경 협의 등을 거쳐 내년 시행을 목표로 추진한다. 다자녀 가정의 공영주차장 이용료 감면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두 자녀 이상 50% 감면 기준을 앞으로는 최초 2시간에는 100% 감면해주고 이후 시간에는 50% 감면받도록 하며, 요금 감면 시 지역주민 제한 조건도 폐지하기로 시군과 협의 중이다. 이밖에 임신·출산 예정 부부 55쌍에게 임신·출산·육아 과정을 교육하는 '엄마·아빠가 처음 학교'를 올해 8~11월 운영한다. 10월부터는 출산 가정에 도지사 축하 카드를 전달하고, 내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 단백질 가공, 세포 밖으로 이동시키는 '골지체' 이온통로 찾아…치매 치료 열쇠?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세포소기관 '골지체'의 이온 채널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를 골지체의 기능 이상으로 나타나는 인지 장애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으로 제시했다. 골지체는 단백질을 가공해 세포 밖으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이온 채널을 통해 내부를 약산성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이온 채널은 이온이 드나드는 통로 역할을 하는 막 단백질로, 자극에 따라 여닫으며 이온 농도를 조절한다. 이온 채널에 문제가 생기면 골지체에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알츠하이머병 등 인지 기능 장애에서 종종 골지체 기능 이상이 발견되지만 어떤 이온 채널에 의한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뇌 별세포(뇌 속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에 높게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TMEM87A'라는 막 단백질이 골지체의 산도를 조절하는 이온 채널임을 확인했다. 이어 바이오분자 및 세포 구조 연구단 김호민 CI 연구팀과 함께 '초저온 전자현미경'(Cryo-EM)을 이용, 초고해상도로 TMEM87A의 3차원 분자 구조를 밝혀냈다. 또 전기생리학 실험과 분자동역학 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이 전압 변화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