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단백질 가공, 세포 밖으로 이동시키는 '골지체' 이온통로 찾아…치매 치료 열쇠?

기초과학연구원 "이온통로 단백질 손상된 실험 쥐, 기억력 감퇴"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세포소기관 '골지체'의 이온 채널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를 골지체의 기능 이상으로 나타나는 인지 장애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으로 제시했다.

 골지체는 단백질을 가공해 세포 밖으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이온 채널을 통해 내부를 약산성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뇌 별세포(뇌 속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에 높게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TMEM87A'라는 막 단백질이 골지체의 산도를 조절하는 이온 채널임을 확인했다.

 이어 바이오분자 및 세포 구조 연구단 김호민 CI 연구팀과 함께 '초저온 전자현미경'(Cryo-EM)을 이용, 초고해상도로 TMEM87A의 3차원 분자 구조를 밝혀냈다.

 또 전기생리학 실험과 분자동역학 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이 전압 변화에 따라 통로가 열리게 되며, 양이온이 이동하는 채널로서 음이온 채널과 함께 골지체의 막 전압을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TMEM87A 단백질이 손상된 실험 쥐는 골지체가 조각나거나 부어오르는 등 비정상적인 모습으로 변했으며, 이는 학습 장애와 기억력 감퇴로 이어졌다.

 이창준 단장은 "골지체의 형태적·기능적 변화가 어떻게 기억력에 관여하는지 밝혔다"며 "TMEM87A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뇌 질환 치료 방법을 찾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지난 11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