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3일 조간)

▲ 경향신문 = 투표율 추락한 여당 전대, 부끄러운 한 달이었다

이원석 총장, 김건희 면죄부 주려는 '하극상 수사' 감찰해야

바이든 전격 후보 사퇴, 선거 105일 앞 변곡점 맞는 미 대선

'시계 제로' 美 대선… 불확실성에 갇힌 최강대국

▲ 서울신문 = '국민 싸움판' 된 국회 청원 게시판

혼돈의 美 대선… 외교역량 최대치로 높여야

구직도 않고 노는 대졸자가 405만명이라니

▲ 세계일보 = 민주주의 정당에서 90% 넘는 득표율, 위험신호 아닌가

金여사 조사 방식 놓고 檢수뇌부 내홍, 국민 불신 더 키운다

바이든 사퇴, 불확실성 커진 대미외교 치밀한 전략 세워야

▲ 아시아투데이 = 패싱 논란 李 총장, 왜 전 정권 수사는 미적거리나

美 정치 불확실성, 외교·안보 역량 총점검해야

▲ 조선일보 = 교육·노동개혁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노는 대졸자' 406만명

수사 불신 자초한 '검찰총장 패싱' 논란

바이든 사퇴, 결과 예단 말고 모든 가능성 대비를

▲ 중앙일보 = "특혜·성역 없다는 원칙 못 지켰다" 검찰총장의 작심 발언

'바이든 사퇴'로 미 대선 격동 … 플랜 A·B·C 풀가동해야

▲ 한겨레 = 늘 푸르렀던 김민기, 우리 마음을 지킨 '뒷것'이었다

'바이든 사퇴' 불확실성 더 커져, 최악 상황 대비해야

'김건희 성역' 인정, 존폐 기로에 선 검찰

▲ 한국일보 = 학원에 모평 문제 팔아 2억, 공교육 붕괴가 이지경까지

바이든 사퇴, 미 대선 요동… 대미 전략 플랜B까지 고려를

'패싱' 총장의 대리 사과… 조직 자해한 검찰 기강

▲ 글로벌이코노믹 = 바이든 후보 사퇴 美 대선 오리무중

일본 엔저 관광객 넘치는데 한국은

▲ 대한경제 = 美 대선구도 급변, 경제·안보 전략 더 면밀히 짜놔야

재건축 조합장에 58억원 성과급… 제도 개선 시급하다

▲ 디지털타임스 = 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도 못막게 만든 檢의 김건희 여사 조사

美대선 구도 급변… 섣부른 예단으로 실익 잃는 愚 범하지 말길

▲ 매일경제 = "민주당, 이 상태론 정권 잡아선 안 된다"는 김두관의 일갈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도입 1년, 수익률 개선 위한 근본개편을

'바이든 사퇴' 美대선 요동 … 韓 스스로 국익 지킬 힘 키워야

▲ 브릿지경제 = 장마 업은 농산물 물가, 지금 비상하게 관리해야

▲ 서울경제 = 대도시 지역상품권 인근 지역 매출 감소…포퓰리즘 입법 멈추라

"반도체 전력의존도 타산업의 8배" …전력망법 조속히 처리해야

美 대선 대격변, 트럼프·해리스 '美 우선주의' 모두 대비하라

▲ 이데일리 = 국가대항전 반도체 지원, 세제 혜택만이 전부인가

시계 제로 미국 대선… 안보·경제 동맹에 빈틈없어야

▲ 이투데이 = 바이든의 美 대선 하차… 경제·안보 파장 대비를

▲ 전자신문 = 흔들리는 미 대선, 이후를 대비해야

▲ 파이낸셜뉴스 = 美 대선 요동치는데 '분열의 정치' 할 땐가

다시 역성장 우려, 내수 부진 등 당면 과제 풀어야

▲ 한국경제 = 김건희 여사, 이재명 전 대표, 누구라도 법 앞에 평등해야

한국 대표기업들의 AI 전환, 지금이 골든타임

격랑의 美 대선 구도 … 시나리오별 대응 절실해졌다

▲ 경북신문 = 대통령 지지율 상승…가시화된 외교 성과?

▲ 경북일보 = 대졸 취포자 400만 대대적 취업 매칭 전개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