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2일 조간)

▲ 경향신문 = 윤 대통령, 독도 영유권·군함도 외교도 저자세 안 풀 건가

또 생활고 사망 비극, '위기가구' 지원 시스템 재정비해야

법원이 제동 건 방문진 이사장 해임, '이동관표 폭주' 멈춰야

▲ 국민일보 = 교사들의 비극과 좌절, 교권 보호법 신속히 처리하라

사상 최대 중소기업 파산 신청…시급한 맞춤형 구조조정

▲ 서울신문 = 채용 비리 범벅 선관위가 어찌 공명을 말해 왔나

李, 단식 접고 검찰 수사 성실히 임해야

약발 안 먹히는 '오염수' 선동, 세상은 달라졌다

▲ 세계일보 = '부도' 경고까지 나온 한전…전기료 추가 인상 불가피하다

채용 비리 '복마전' 선관위, 해체 수준 개혁안 내놔야

울산시장 선거 재판, 구형까지 3년7개월이나 걸릴 일인가

▲ 아시아투데이 = 이승만 기념관, 자발적 참여로 하루빨리 건립하자

G20 계기로 인도와 포괄적 협력 강화해야

▲ 조선일보 = 선관위 경력직 15%가 부정 채용 의혹, 믿기지 않을 정도

민주당 또 "탄핵", 헤아리기도 힘든 특검·탄핵·해임·국정조사 요구

재판 지연 수법으로 불의 도운 '울산 공작' 재판, 정의는 어디에

▲ 중앙일보 = 엄마 시신 옆 며칠째 굶은 아이…여전한 복지행정 구멍

'중앙채용비리위원회' 오명 선관위, '60년 고인 물' 싹 빼야

▲ 한겨레 = 숨진 엄마 옆 미등록 아동, 또 늦은 위기가구 지원

'김만배' 보도 언론 향해 "사형", 여당 대표 비상식적 막말

'방송 장악'에 제동 건 법원, 정부 무리수 그만 멈추라

▲ 한국일보 = N수생 비중 27년 만에 최고…재수 부추기는 사회

선관위, 직원 자녀 당일 추천·채용까지…수사로 실체 드러내야

북러 회담 임박 속 더 중요해진 한중관계

▲ 디지털타임스 = 얼마나 더 교사의 희생이 있어야 교권 보호법안 처리할 텐가

배부른 대기업노조 파업 예고…공감 어렵고 명분도 없다

▲ 매일경제 = 600일 넘게 걸리는 공정위 조사, 기업 발목 잡기다

민주당 이번엔 국방장관 탄핵 추진, 안보 공백은 안중에 없나

'테크노 빅뱅'의 미래 보여줄 제24회 세계지식포럼

▲ 브릿지경제 = 정부·방산기업 협의체에 K-방산 미래 달렸다

▲ 서울경제 = 툭하면 '탄핵' 겁박 巨野, 사법 리스크 덮기 위해 민생 팽개칠 건가

북러 무기 거래, 단호한 국제 제재로 '자멸' 재촉한다는 점 보여줘야

한전 부채 이자만 24조 원…강도 높은 자구 노력 선행돼야 한다

▲ 이데일리 = 청년 백수 120만명 시대…좁아진 취업 문, 대책은 뭔가

동력 잃은 야당의 日 오염수 투쟁…이게 진짜 민심이다

▲ 이투데이 = 한전 포함 9곳 공공기관, 7조 적자 감당하겠나

▲ 전자신문 = 금융당국, 온투업 점검과 지원 나설 때

전기차 보급, 제반 환경도 늘려야

▲ 한국경제 = "尹정부 들어 경제 폭망" 민주당 싱크탱크의 무책임한 독설

서울시의 무제한 교통카드 실험…무임승차 연령 상향도 추진해야

"한국, 많이 일하는 나라 아니다"…'최장 근로국' 프레임 버려야

▲ 대한경제 = 기후동행카드, 대중교통 활성화·기후 위기 대응 단초로

공공기관 개혁, 국정 동력 왕성할 때 본궤도 올려야

▲ 파이낸셜뉴스 = 경제난 속 명분도 없는 파업, 공멸로 가려는가

한전 200조 빚 해결책은 정치 배제한 요금 조정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