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6일 조간)

▲ 경향신문 = 감정 분출하는 정치인·공직자 막말 자중해야

무엇을 위한 유엔사 '재활성화'인가

'박민 KBS'의 인사·콘텐츠 칼바람, 이게 공영방송 장악이다

▲ 국민일보 = 이번엔 '뻥튀기 상장'…대수술 시급한 후진적 자본시장

인요한 혁신위마저 좌초하면 국민의힘은 진짜 위기다

▲ 서울신문 = KBS 인적쇄신 계기로 국민의 방송 거듭나길

신재생 목표 부풀리고 이권까지 챙긴 공직자들

가짜 인터넷 언론 앞세운 중국의 여론 조작

▲ 세계일보 = 캐도 캐도 끝이 없는 태양광 비리, 전모 밝혀 엄벌해야

'한동훈에 막말' 공세 民主 의원들 '후진 정치' 행태 멈추라

친윤 핵심이 혁신위 뜻 따르지 않으면 與 미래 없다

▲ 아시아투데이 = 中 위장 언론 등의 내년 총선 개입, 원천 차단해야

노사합의 시 모든 업종·직종 연장근로 허용을

▲ 조선일보 = 김정은 향해 "무력 공격 시 공동 대응" 밝힌 유엔사 17국

KBS의 왜곡 보도 사과, 다음 정권에서 또 사과하지 않아야

中 업체가 국내 언론 가장해 반미 내용 유포, 배후 있을 것

▲ 중앙일보 = 한·미 동맹과 함께 안보의 양축으로 활용해야 할 유엔사

공직자들 불법 돈벌이 수단 전락한 태양광 사업

▲ 한겨레 = 노사정 대화 복원, 반노동 정책 기조부터 전환해야

9·19 합의 효력정지, 한반도 긴장 악화시킬 오판이다

'KBS 점령' 속도전 펴는 박민 사장, '땡윤 방송' 급한가

▲ 한국일보 = 휘몰아치는 KBS 칼바람…또 다른 편파 우려한다

'친중반미' 중국의 한국언론 행세…총선도 개입할라

與 혁신위도 친윤계 반발에 좌초 위기, 야당 전철 밟나

▲ 대한경제 = 여야, '사용 후 배터리' 산업 활성화 입법에 힘 합쳐야

서울시의 조달청 관급자재 조달문제 비판, 일리 있다

▲ 디지털타임스 = 한국형 '배터리 여권' 추진…민관협력 재활용경제 모델 만들라

변화 앞장서야 할 '친윤'이 혁신위 무시하면 어찌 위기 넘겠나

▲ 매일경제 = 한노총, 경사노위 복귀…민노총은 언제까지 길거리 투쟁만

혁신위에 응답없는 與중진·친윤…'낙동강 하류당' 머물셈인가

與·野 "1기 신도시법 연내 처리" 다른 민생법안도 초당적 협력을

▲ 브릿지경제 = 배터리 여권 제도, 순환경제로 가는 방향이다

▲ 서울경제 = 광역·기초 자치단체 포퓰리즘 경쟁 막을 시스템 만들어라

공직자·공기업 직원 뒷주머니 채워준 '태양광 복마전'

횡재세 이어 '법인세 폭탄'…기업 때리기로 표 얻겠다는 巨野

▲ 이데일리 = 첫 수확 부진한 가루쌀 벼 재배, 아직 포기하긴 이르다

퍼주기 군불 때는 예산심사, 긴축 다짐 벌써 잊었나

▲ 이투데이 = '짜맞추기', '가짜 농민' 태양광 장사 한심하다

▲ 전자신문 = 인터넷 신뢰성 확보 시급하다

유니콘, 질적 성장 생태계 수반돼야

▲ 파이낸셜뉴스 = 용두사미에 그치고 만 새마을금고 혁신

한국노총 사회적 대화 복귀, 민주노총도 동참해야

▲ 한국경제 = KBS '재창조 수준 혁신' 천명…공영방송 좌표 제대로 찾아라

경사노위 복귀한 한노총, '노동계 대표'다운 합리적 자세 기대한다

울산에 전기차 전용 공장 짓는 현대차, 승부는 이제부터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실시간 혈액검사…속도·정확도 높여
혈액검사 시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분석해 속도를 높이고 정밀한 결과를 도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기계로봇공학과 양성 교수 연구팀이 혈류 상태에서 적혈구 배열과 적혈구 내부 헤모글로빈 수화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기술은 실제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적혈구의 배열 방향성과 세포 내부 수분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주파수의 전기 신호에 대한 물질의 반응을 측정해 유전 특성이나 분자 구조 변화 등을 분석하는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과 미세 채널로 액체를 정밀하게 제어·분석하는 마이크로 플루이딕 기술을 결합했다. 특히 적혈구 배열 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는 선호 배열 지수 개념을 도입했다. 기존 방식은 대부분 정지 상태의 혈액을 분석했기 때문에 적혈구 응집이나 침전 현상이 발생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기존 이론 모델은 적혈구 배열 상태나 헤모글로빈 수화 구조를 고려하지 않아 임피던스 스펙트럼(저항 범위) 해석에도 제약이 따랐다. 연구팀은 새로운 기술로 적혈구 수·헤모글로빈 농도·헤마토크릿 등 혈액의 상태와 기능을 평가하는 주요 혈액학

메디칼산업

더보기